이산화탄소로 플라스틱을 제조할 수 있는 기수을 부산대 연구진이 개발했다. 제조 설비의 추가 툴자 없이 곧바로 투입할 수 있어 석유 기반의 플라스틱 시장이 빠르게 재편될 것이라는 평가다. 특히, 이산화탄소 기반의 플라스틱은 생분해가 빠르게 일어 미세 플라스틱 문제 해결에도 큰 효과를 보인 것으로 연구 결과 나타났다.
부산대는 김일 응용화학공학부 교수 연구팀이 이산화탄소를 에폭시계 단량체와 중합해 다양한 구조와 기능성을 가진 카보네이트계 폴리올을 제조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13일 밝혔다.
이산화탄소는 드라이아이스나 탄산음료의 원료로 사용될 정도로 안정돼 그동안 화학 반응 원료로 사용하기 까다로운 조건으로 알려졌다. 김 교수 연구팀은 가격이 저렴한 금속 촉매를 개발해 이산화탄소를 에폭시계 단량체와 중합하는 데 성공했다. 특히 제조 과정에서 고분자의 기능성과 구조의 정교한 조절도 달성했다.
일선 제조 공정에서 석유를 원료로 한 플라스틱을 빠르게 대체할 것으로 기대된다. 김 교수팀은 폴리올 말단의 기능기(유기화합물의 성질을 결정하는 원자단)와 점도를 조절해 폴리우레탄 공정에 바로 투입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기능기 변화에 따라 독성이 강한 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하지 않고도 폴리우레탄을 제조할 수 있다. 생분해가 쉽게 일어나 미세 플라스틱 발생 문제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김 교수는 "이산화탄소를 카보네이트계 폴리올 제조를 위한 원료로 활용할 경우 환경문제를 해결함은 물론 현재 폴리우레탄 제품의 여러 가지 문제를 해결함과 동시에 고부가가치 제품을 창출하는 일거양득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산화탄소로 플라스틱 제조 시대 열렸다..."설비 투자 없이 곧바로 제조 가능"", 한경사회, 2023년07월13일 수정, 07월15일 접속, https://www.hankyung.com/society/article/202307134226h
No. | Subject | Date |
---|---|---|
110 | 탄소감축도 자연의 순리로···해조류 활용 기후 테크가 뜬다 KABPE / 2023.07.24 |
|
109 | 그린다, 푸디웜과 연구 교류 위한 업무협약 체결 KABPE / 2023.07.22 |
|
108 | 의료·조리용 장갑도 친환경 시대 KABPE / 2023.07.21 |
|
107 | "국산 종이빨대 재활용 가능합니다"…반박 나선 제지업계 KABPE / 2023.07.20 |
|
106 | 한솔제지, 나노셀룰로오스 적용 확대 KABPE / 2023.07.19 |
|
105 | 무림P&P, 천연 펄프 기반 친환경 신소재 사업 박차 KABPE / 2023.07.18 |
|
104 | 팝콘용기도 친환경 포장재...한국제지, '그린실드' KABPE / 2023.07.17 |
|
▶ | 이산화탄소로 플라스틱 제조 시대 열렸다..."설비 투자 없이 곧바로 제조 가능" KABPE / 2023.07.15 |
|
102 | KISR to support biodegradable bag factory KABPE / 2023.07.08 |
|
101 | '생분해 플라스틱' 분해된 조각 분석했더니..."생태독성 없다" KABPE / 2023.07.07 |
|
100 | 멍템, 생분해성 친환경 배변봉투 로즈 풉백 출시 KABPE / 2023.07.06 |
|
99 | 그란다, 진케미칼과 생분해성 플라스틱 원료 공동 연구 KABPE / 2023.07.05 |
|
98 | 분해되는데 소각하라고?...거꾸로 가는 생분해 플라스티 정책 KABPE / 2023.07.04 |
|
97 | 씨앤투스, 국내 최초 ‘생분해 MB필터 마스크’ 개발 KABPE / 2023.07.03 |
|
96 | 주저앉은 정유·화학업계… ‘친환경 플라스틱’으로 도약 발판 KABPE / 2023.07.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