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단법인
한국생분해플라스틱생태계협회
  정보/자료 > 자료실

버려지는 코코넛껍질·새우 껍질, 친환경 스티로폼으로 새활용

• Wirter : KABPE  
• Date : 2023.09.05  
• Hits : 403

플라스틱 성분을 대신해 친환경 소재를 사용한 포장재 개발이 활발한 가운데 코코넛 껍질과 새우껍질 등 버려지는 쓰레기를 업사이클해 스티로폼 포장지를 개발하는 스타트업이 등장해 눈길을 끈다.


필리핀에 본사를 둔 포르투나 쿨스(Fortuna Cools)는 코코넛 껍질을 사용해 플라스틱 스티로폼을 천연 섬유로 완전히 대체한다. 스탠포드 대학에서 디자인을 전공하고 아시아 전역의 스타트업 및 NGO를 위한 개발 및 컨설팅에 참여한 데이비드 커틀러(David Cutler)가 지난 2018년 설립한 회사로 필리핀 해안가에 버려져 있는 코코넛 껍질을 사용해 포장재를 개발하고자 했다.


회사에 따르면 코코넛 산업이 필리핀의 주요 산업인 만큼 버려지는 코코넛 껍질은 매년 90억개에 달한다. 이렇게 버려지는 코코넛 껍질은 주로 소각되는데 이때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량은 상당하다.


포르투나 쿨스는 코코넛 껍질이 원래 필리핀의 뜨거운 열대 태양 아래 신선한 코코넛 과육을 보호하는 쿨러 역할을 하므로 이를 사용해 스티로폼을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이를 사용해 넛쉘 쿨러(Nutshell Cooler) 보냉박스를 개발했다. 넛쉘 쿨러는 스티로폼 박스와 거의 동일한 보냉 효과를 보여 스티로폼 대체품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들은 비영리 단체 레어(Rare)와 협업을 통해 필리핀 전역에서 코코넛 껍질을 공급받고 있으며 이 공급 네트워크에는 1000개 이상의 소규모 농가가 포함돼 있어 농가에 추가 소득을 제공하고 천연 재료 생태계를 구축해 일자리와 연구 기회를 제공한다. 포르투나 쿨스는 5년 안에 다양한 국가에 업사이클링 허브를 갖고 해외 진출을 목표로 노력하고 있으며 매년 백만 개 이상의 코코넛 껍질을 넛쉘 제품으로 새활용 할 계획이다.


지난 2017년 캘리포니아에 설립된 크루즈 폼(Cruz Foam)은 버려지는 새우 껍질을 사용해 스티로폼 포장재를 개발한다. 워싱턴 대학교 공과대학에서 진행했던 연구 프로젝트를 기반으로 당시 연구원이었던 마르코 로랜디(Marco Rolandi)와 존 펠츠(John Felts)는 서핑 보드의 석유 기반 폼을 대체할 천연 폼소재를 만들고자 처음 회사를 설립했다.


이들은 새우 껍질에서 발견되는 키틴 성분을 사용해 스티로폼의 대안품을 만들고자 했으며 키틴을 비롯해 농업폐기물에서 추출한 전분, 섬유성분 등을 사용해 완성한다. 지속가능한 어장에서 발생하는 새우 껍질을 공급받으며 제품은 사용 후 자연적으로 생분해가 된다. 회사에 따르면 수명주기 분석을 통해 스티로폼에 사용되는 폴리스티렌을 크루즈폼과 같은 친환경 제품으로 교체한다면 연간 1만 7000톤의 이산화탄소를 줄일 수 있다.


크루즈폼은 올해 초 상용 제품을 성공적으로 출시했으며 향후 5년 안에 다양한 사이즈와 형태의 제품, 새로운 친환경 소재를 개발할 계획이다.



"버려지는 코코넛껍질·새우 껍질, 친환경 스티로폼으로 새활용", 비건뉴스, 2023년09월05일 수정, 09월05일 접속, https://www.vegannews.co.kr/news/article.html?no=15897


• Total : 485 ( 23/33 pages)
No. Subject Date
155 “농축산 폐기물로 썩는 플라스틱 만든다”…한국에너지공대 특허 출원
KABPE / 2023.09.18
2023.09.18
154 순창군, 생분해성 멀칭비닐 지원 늘린다
KABPE / 2023.09.16
2023.09.16
153 “거기 식품회사 아냐?” CJ제일제당에 화장품업체 사람들이 모였다는데… [푸드360]
KABPE / 2023.09.15
2023.09.15
152 Salt water-degradable plastics to help oceans
KABPE / 2023.09.14
2023.09.14
151 조선대, 세이브어스(주)에 버섯 균사체 특허 기술 이전
KABPE / 2023.09.13
2023.09.13
150 University of Waterloo startup making biodegradable ‘plastic-like’ material from dairy waste
KABPE / 2023.09.12
2023.09.12
149 New materials from non-biodegradable plastic waste for the packaging and pharmaceutical industries
KABPE / 2023.09.11
2023.09.11
148 작년은 생분해, 올해는 바이오…코오롱인더, ‘친환경 소재’에 잰걸음
KABPE / 2023.09.09
2023.09.09
147 생분해에 꽂힌 화학업계…탈탄소 목표, 'PBAT·PLA'에 올인
KABPE / 2023.09.08
2023.09.08
146 플라스틱 단계적으로 퇴출되나?...'국제플라스틱 협약초안' 공개
KABPE / 2023.09.07
2023.09.07
145 “유해물질이요? 말도 안됩니다”…세계 1위 빨대업체의 이유있는 항변
KABPE / 2023.09.06
2023.09.06
버려지는 코코넛껍질·새우 껍질, 친환경 스티로폼으로 새활용
KABPE / 2023.09.05
2023.09.05
143 유로팜스, 에코네이쳐와 생분해멀칭필름 브랜드 '이지멀칭' 공동 사용 합의
KABPE / 2023.09.04
2023.09.04
142 [그린&애그리테크 아시아 2023]세진케미칼, 생분해성 농업용 멀칭 필름 등 선봬
KABPE / 2023.09.02
2023.09.02
141 [단독] LG화학, 日 바이오웍스에 투자…생분해 플라스틱 사업 강화
KABPE / 2023.09.01
2023.09.01
GS칼텍스 SCL(재) 서울의과학연구소 아모레퍼시픽 씨티케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