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청장 조재호)은 생분해성 플라스틱인 폴리카프로락톤(PCL, polycaprolactone)을 분해하는 세균을 선발했다.
생분해성 플라스틱은 석유 유래 생분해성 플라스틱과 식물 유래 생분해성 플라스틱으로 구분되는데, 각각 석유와 식물을 원료로 화학적, 생물학적 공정을 거쳐 생산되며, 일정 조건에서 미생물에 의해 완전히 분해되는 플라스틱을 뜻한다. 그러나, 일부 생분해성 플라스틱은 자연 상태에서 분해가 어렵고, 분해되기까지 수년이 걸리기도 한다. 폴리카프로락톤의 경우 자연에서 완전히 분해되는데 3~4년 정도 걸리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농진청은 폴리카프로락톤 등 생분해성 플라스틱 분해를 촉진하는 미생물을 찾기 위해 폐기물 매립지에서 아쿠아박테리움(Aquabacterium sp.) CY2-9를 선발했다. 이 미생물을 폴리카프로락톤으로 만든 필름에 적용한 결과, 28℃에서 20일 만에 필름의 98%를 분해하는 것을 확인했다.
배양 시간이 길어질수록 분해 정도가 빨라졌으며, 최적 분해 조건은 온도 28℃, 농도 1%, 수평균분자량 1.0x104 Da이었다.
농진청 농업미생물과 김남정 과장은 “전 세계가 플라스틱 폐기물 문제로 어려움을 겪는 가운데, 이번 연구 결과가 플라스틱으로 인한 환경부하를 줄이는 연구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농진청, 생분해성 플라스틱 분해 촉진 미생물 선발", 식품저널 foodnews, 2023년10월18일 수정, 10월18일 접속, https://www.food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4993
No. | Subject | Date |
---|---|---|
194 | 'Biodegradable' mulches contributing to plastic pollution KABPE / 2023.11.10 |
|
193 | ㈜그린다, ㈜JKC international MOU 체결... “일본 진출” KABPE / 2023.11.09 |
|
192 | 일회용품 규제 결국 '없던 일로' KABPE / 2023.11.08 |
|
191 | SK지오센트릭, 재활용 원료로 화학제품 포장재 만든다 KABPE / 2023.11.07 |
|
190 | 전남도 지원기업, 생분해성 친환경 부표 국내 첫 개발 KABPE / 2023.11.06 |
|
189 | KTR, 바이오플라스틱協 협약…화이트바이오 산업 육성 지원 KABPE / 2023.11.04 |
|
188 | 메디폴리머, 생분해성 등 확인...생산 공정 등 구축 추진 KABPE / 2023.11.03 |
|
187 | "선진국서 쓰는 생분해 플라스틱 비닐, 韓경쟁력 잃는다" KABPE / 2023.11.02 |
|
186 | ㈜뉴로팩, ‘2023 한국포장전’서 다양한 기능성 친환경 포장재 선보여 KABPE / 2023.11.01 |
|
185 | 연 24% 성장시장에 韓 점유율 고작 1~2%…해외선 세제지원하는데[미래기술25] KABPE / 2023.10.31 |
|
184 | 샤워플러스, '지페어 코리아'서 '아쿠아듀오' 필터샤워기 선봬 KABPE / 2023.10.30 |
|
183 | ‘공공의 적’ 플라스틱, 이유 있는 항변 KABPE / 2023.10.28 |
|
182 | 톰 포드 플라스틱 혁신 엑셀러레이터 시작, 해조류 기반 플라스틱 스타트업 지원 KABPE / 2023.10.27 |
|
181 | 식물성 가죽에 생분해 포장재까지… 김치 부산물이 순환자원 된다 KABPE / 2023.10.26 |
|
180 | KCL, 유럽인증기관과 생분해성 바이오 플라스틱 시험인증 MOU KABPE / 2023.10.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