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단법인
한국생분해플라스틱생태계협회
  정보/자료 > 자료실

Even ‘biodegradable’ plastics may not be enough to protect fish from doom, new research suggests

• Wirter : KABPE  
• Date : 2023.10.23  
• Hits : 382

플라스틱의 분해 시간이 길어지는 것도 문제지만, 해류와 기타 자연적인 힘에 의해 플라스틱이 물고기 크기의 작은 조각으로 줄어들면 이를 섭취하는 해양 생물에게 심각한 문제가 발생합니다.


과학자들은 오랫동안 이러한 바이오 플라스틱을 미세 플라스틱 물고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만병통치약으로 여겨왔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첨단 바이오 플라스틱이 처음에 예상했던 것만큼 최적의 성능을 발휘하지 못한다는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기존의 석유 기반 플라스틱만큼 해롭지는 않지만, 바이오 플라스틱에 노출되면 물고기가 포식자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는 중요한 메커니즘인 탈출 능력이 손상됩니다.


이전 연구에 따르면 기존 및 생체 고분자 미세 플라스틱 노출은 공격자를 피하기 위해 이동하는 속도 또는 거리의 감소와 같이 위험에 대한 물고기의 반응의 다양한 측면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최근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 결과를 재확인하면서 물고기가 바이오 플라스틱에 노출되었을때 탈출 속도가 감소하는 경향이 있음을 관찰했습니다.


반대로 석유 기반 고분자 미세 플라스틱에 노출되면 전반적으로 어류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기존의 미세 플라스틱 노출은 위험에 대한 대응력과 생존에 필수적인 빠른 헤엄치는 능력을 저해했습니다. 또한 물고기가 상대적으로 무기력해져 평균 유영 속도와 전체 이동 거리와 같은 일상적인 행동에도 영향을 미쳤습니다.


바이오폴리머는 기존 플라스틱에 비해 어류에 대한 피해를 부분적으로 완화했지만, 저자들은 탈출 행동 장애로 인해 새와 다른 어류의 포식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는 우려를 표명했습니다. 


Hawke, Ashleigh M., et al. "Exposure to petroleum-derived and biopolymer microplastics affect fast start escape performance and aerobic metabolism in a marine fish."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2023): 167423.



"Even ‘biodegradable’ plastics may not be enough to protect fish from doom, new research suggests", Business Insider India, 2023년10월19일 수정, 10월23일 접속, https://www.businessinsider.in/science/news/even-biodegradable-plastics-may-not-be-enough-to-protect-fish-from-doom-new-research-suggests/articleshow/104555697.cms


• Total : 485 ( 21/33 pages)
No. Subject Date
185 연 24% 성장시장에 韓 점유율 고작 1~2%…해외선 세제지원하는데[미래기술25]
KABPE / 2023.10.31
2023.10.31
184 샤워플러스, '지페어 코리아'서 '아쿠아듀오' 필터샤워기 선봬
KABPE / 2023.10.30
2023.10.30
183 ‘공공의 적’ 플라스틱, 이유 있는 항변
KABPE / 2023.10.28
2023.10.28
182 톰 포드 플라스틱 혁신 엑셀러레이터 시작, 해조류 기반 플라스틱 스타트업 지원
KABPE / 2023.10.27
2023.10.27
181 식물성 가죽에 생분해 포장재까지… 김치 부산물이 순환자원 된다
KABPE / 2023.10.26
2023.10.26
180 KCL, 유럽인증기관과 생분해성 바이오 플라스틱 시험인증 MOU
KABPE / 2023.10.25
2023.10.25
179 휴비스, 250배 빠르게 분해되는 현수막 소재 개발
KABPE / 2023.10.24
2023.10.24
Even ‘biodegradable’ plastics may not be enough to protect fish from doom, new research suggests
KABPE / 2023.10.23
2023.10.23
177 음성발전소, 평곡초에서 '오호(Ooho) 물병' 환경 교육
KABPE / 2023.10.21
2023.10.21
176 생활용품에서 의류까지...쓰임새가 커지는 '생분해 PLA'
KABPE / 2023.10.20
2023.10.20
175 일회용품 사용규제 계도기간 한 달 남았다…대안 찾기 나선 유통가
KABPE / 2023.10.19
2023.10.19
174 농진청, 생분해성 플라스틱 분해 촉진 미생물 선발
KABPE / 2023.10.18
2023.10.18
173 KG케미칼, 그린바이오와 친환경 농업 생태계 구축 ‘맞손’
KABPE / 2023.10.17
2023.10.17
172 과일에서 곡물껍질까지...대체 플라스틱으로 재탄생하는 농업부산물
KABPE / 2023.10.16
2023.10.16
171 씨앤투스 "신소재 필터 역량 강화"…울산 개발센터 운영
KABPE / 2023.10.14
2023.10.14
GS칼텍스 SCL(재) 서울의과학연구소 아모레퍼시픽 씨티케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