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8일(현지시간), 미국 샌디에고에서 열린 서스테이너블 브랜드 SB`23 샌디에이고 기조연설에서 에스티로더 컴퍼니(ELC)의 최고 지속가능성 책임자 낸시 마혼(Nancy Mahon)은 `톰 포드 플라스틱 혁신 엑셀러레이터(Tom Ford Plastic Innovation Accelerator)` 프로그램이 시작됐다고 전했다.
비영리단체 론리 웨일(Lonely Whale)이 주최한 이 프로그램은 화석 연료로 만든 얇은 막, 이른바 박막 플라스틱(Thin-film plastic)을 해조류 기반 플라스틱 대안의 규모 확장과 시장 채택을 가속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론리 웨일은 `미래의 포장을 풀다(Unwrap the Future)`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이 엑셀러레이터 프로그램을 지원하고 있다.
미래의 포장을 풀다 프로그램의 2단계에 해당하는 톰 포드 혁신 엑셀러레이터 프로그램은 박막 플라스틱에 대한 해양 안전 솔루션을 조사하고 확장하기 위해 생겨났다. 이 프로그램은 톰 포드 뷰티와 그 모회사인 에스티로더 컴퍼니의 후원을 받는다.
프로그램 운영팀은 박막 플라스틱을 대체할 제품을 만들어내기 위해서는 다각적인 네트워크에 대한 접근과 선도적인 통찰력, 브랜드 관계자가 솔루션을 제공해야 한다는 점을 인식하고 있다며 혁신상 수상 기업들이 업계 전반의 전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도록 월별 세미나 및 전략적 커뮤니케이션 워크숍 등의 지원을 제공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트루스데일 벤처스의 CEO 필립 사로핌(Phillip Sarofim)은 “톰 포드 플라스틱 혁신상 수상자를 공개하는 것은 단지 첫 번째 단계에 불과했다. 이제 이러한 회사가 확장함에 따라 자본 접근을 촉진하고 유해한 플라스틱을 자연에 뿌리를 둔 솔루션으로 대체하는 것이 필수적이다”라고 말했다.
지난 2020년 론리 웨일은 박막 플라스틱에 대한 솔루션으로 다년간의 프로그램인 ‘미래의 포장을 풀다’를 내놓았다. 총 3단계로 이루어진 이 프로그램의 1단계에서는 ‘톰 포드 플라스틱 혁신상(Tom Ford Plastic Innovation Prize)’이 만들어졌다.
2023년 3월, 혁신상 수상이 이루어졌다. 1위는 미국의 생명공학 스타트업인 스웨이(Sway)가 차지했다. 2위를 인도 생명공학 스타트업인 제로서클(Zerocircle), 3위를 영국 생명공학 스타트업 낫플라(Notpla)가 수상했다.
스웨이는 해조류에서 추출한 셀룰로오스를 이용해 생분해성 필름을 만들어 신발과 같은 생활용 제품을 만든다. 색상 변경이 가능하며 땅에 묻으면 2주 이내로 생분해 되는 것이 특징이다.
제로서클은 해조류 기반 펠렛을 공급하여 연질 필름을 만드는 해조류 재배 및 가공 업체다. 그밖에 종이와 카드를 대체할 수 있는 해조류 섬유 포장과 플라스틱이 포함되지 않는 코팅도 제공한다.
낫플라는 포장 스타트업으로, 2014년에 설립됐다. 해조류 코팅 포장용기 등을 선보였으며 영국의 청량음료 브랜드 루코제이드(Lucozade) 및 음식 배달앱인 저스트 잇(Just EAT)과 협업해 포장 용기를 선보인 바 있다.
론리 웨일의 공동 창업자인 루시 섬너(Lucy Sumner)는 "최근 포장 시스템의 선두업체인 애틀랜틱 패키징(Atlantic Packaging)이 얼리어답터 연합에 합류했다. 이들 브랜드는 해양의 장기적인 건강과 번영을 보장하는 구체적이고 역동적인 솔루션을 개발하는 데 필요한 급진적인 협력 유형을 적극적으로 보여주고 있다"라고 말했다.
"톰 포드 플라스틱 혁신 엑셀러레이터 시작, 해조류 기반 플라스틱 스타트업 지원", 임팩트온, 2023년10월27일 수정, 10월27일 접속, https://www.impacton.net/news/articleView.html?idxno=10160
No. | Subject | Date |
---|---|---|
185 | 연 24% 성장시장에 韓 점유율 고작 1~2%…해외선 세제지원하는데[미래기술25] KABPE / 2023.10.31 |
|
184 | 샤워플러스, '지페어 코리아'서 '아쿠아듀오' 필터샤워기 선봬 KABPE / 2023.10.30 |
|
183 | ‘공공의 적’ 플라스틱, 이유 있는 항변 KABPE / 2023.10.28 |
|
▶ | 톰 포드 플라스틱 혁신 엑셀러레이터 시작, 해조류 기반 플라스틱 스타트업 지원 KABPE / 2023.10.27 |
|
181 | 식물성 가죽에 생분해 포장재까지… 김치 부산물이 순환자원 된다 KABPE / 2023.10.26 |
|
180 | KCL, 유럽인증기관과 생분해성 바이오 플라스틱 시험인증 MOU KABPE / 2023.10.25 |
|
179 | 휴비스, 250배 빠르게 분해되는 현수막 소재 개발 KABPE / 2023.10.24 |
|
178 | Even ‘biodegradable’ plastics may not be enough to protect fish from doom, new research suggests KABPE / 2023.10.23 |
|
177 | 음성발전소, 평곡초에서 '오호(Ooho) 물병' 환경 교육 KABPE / 2023.10.21 |
|
176 | 생활용품에서 의류까지...쓰임새가 커지는 '생분해 PLA' KABPE / 2023.10.20 |
|
175 | 일회용품 사용규제 계도기간 한 달 남았다…대안 찾기 나선 유통가 KABPE / 2023.10.19 |
|
174 | 농진청, 생분해성 플라스틱 분해 촉진 미생물 선발 KABPE / 2023.10.18 |
|
173 | KG케미칼, 그린바이오와 친환경 농업 생태계 구축 ‘맞손’ KABPE / 2023.10.17 |
|
172 | 과일에서 곡물껍질까지...대체 플라스틱으로 재탄생하는 농업부산물 KABPE / 2023.10.16 |
|
171 | 씨앤투스 "신소재 필터 역량 강화"…울산 개발센터 운영 KABPE / 2023.1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