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려견을 키우는 인구수가 늘어나고 있다. 이에 최근 반려견과 관련된 다양한 콘텐츠가 큰 인기를 끌고 있다. 하지만 환경적인 측면에서 반려견에 관련된 긍정적이지 못한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의 한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반려동물 가구 수는 약 602만 가구인 것으로 확인됐다. 만약 해당 가구에서 하루 2장씩 배변패드를 버린다고 했을 경우 1년에 버려지는 배변패드는 약 42억 장인 것으로 추산된다. 하지만 실제로 버려지는 배변패드는 해당 수치를 훨씬 뛰어넘을 것이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소형견의 경우 하루에 1~2장의 배변패드를 사용할 수 있지만 중·대형견의 경우 많게는 10장 이상의 배변패드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반려견의 배변패드가 환경적인 측면에서 부정적인 이유는 무엇일까? 일회용 기저귀처럼 배변패드 역시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기 때문이다. 배변패드는 석유화학 부산물인 `고흡수성 수지(SAP)`를 주원료로 사용하고 있다. SAP는 재활용이 불가능해 소각이나 매립을 통해 처리해야만 한다. SAP를 매립할 경우 자연분해에만 500년 이상 걸리는 것으로 알려졌는데 이 과정에서 각종 오염물질과 미세 플라스틱 배출되면서 자연에 악영향을 끼치게 된다. 소각 과정 역시 마찬가지다.
여러 가지 이유로 최근에 종이, 면, 대나무, 옥수수 전분으로 만든 생분해성 플라스틱 소재를 활용한 친환경 배변패드가 시중에 판매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배변패드에 비해 비싼 가격과 좋지 못한 성능으로 수요가 부진한 편이다.
반려견 배변패드가 일으키는 각종 환경문제에 대한 인식개선과 함께 기업들 역시 소비자들이 선택할 수 있는 친환경 배변패드 개발에 주력해야 한다.
"반려견 배변패드=플라스틱, 친환경 제품 생산 필요성↑", 데일리환경, 2023년11월16일 수정, 11월16일 접속, https://dailyt.co.kr/newsView/dlt202311150003
No. | Subject | Date |
---|---|---|
200 | 엔바이오니아, 완전 생분해소재 특허취득…친환경 물티슈 상용화 박차 KABPE / 2023.11.17 |
|
▶ | 반려견 배변패드=플라스틱, 친환경 제품 생산 필요성↑ KABPE / 2023.11.16 |
|
198 | 전남도-한국에너지공과대학, 농업 부산물 자원화 공동 협력 KABPE / 2023.11.15 |
|
197 | Phabuilder Set to Launch Marine-Degradable Straws and Cutlery KABPE / 2023.11.14 |
|
196 | LG화학, 초일류 R&D 기반 체질개선...“친환경 경쟁력 강화” KABPE / 2023.11.13 |
|
195 | [ESG커넥트포럼] 그린패키지 "6개월 내 98% 생분해...플라스틱 대체해야" KABPE / 2023.11.11 |
|
194 | 'Biodegradable' mulches contributing to plastic pollution KABPE / 2023.11.10 |
|
193 | ㈜그린다, ㈜JKC international MOU 체결... “일본 진출” KABPE / 2023.11.09 |
|
192 | 일회용품 규제 결국 '없던 일로' KABPE / 2023.11.08 |
|
191 | SK지오센트릭, 재활용 원료로 화학제품 포장재 만든다 KABPE / 2023.11.07 |
|
190 | 전남도 지원기업, 생분해성 친환경 부표 국내 첫 개발 KABPE / 2023.11.06 |
|
189 | KTR, 바이오플라스틱協 협약…화이트바이오 산업 육성 지원 KABPE / 2023.11.04 |
|
188 | 메디폴리머, 생분해성 등 확인...생산 공정 등 구축 추진 KABPE / 2023.11.03 |
|
187 | "선진국서 쓰는 생분해 플라스틱 비닐, 韓경쟁력 잃는다" KABPE / 2023.11.02 |
|
186 | ㈜뉴로팩, ‘2023 한국포장전’서 다양한 기능성 친환경 포장재 선보여 KABPE / 2023.1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