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에 많이 사용될 수 있는 바이오 플라스틱을 미국의 대초원에서 자생하는 풀에서 추출할 수 있다고 유럽 미디어인 `재생가능한 물질(renewable matter)`은 4일(현지시각) 보도했다.
사우스다코다 주립대의 유제품 및 식품과학과 부교수인 Srinivas Janaswamy의 연구는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적은 바이오 플라스틱의 생산이 가능하다느 것을 보여준다. 이 연구는 아보카도 껍질과 커피 찌꺼기를 포함한 다양한 농업 부산물로부터 바이오 필름을 만드는 것이 어떻게 가능한지 증명했다.
이 연구는 상당한 높이까지 자랄 수 있고 북미 대초원에 널리 퍼져 있는 풀인 큰개기장(Panicum virgatum)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큰개기장이라는 자생 풀의 특징은 리그노셀룰로오스(ligno-cellulose) 성분에 있다. 이 물질은 셀룰로오스(cellulose), 헤미셀룰로오스(hemicelluloses), 리그닌(lignin)이 성분의 58%를 차지하고 있다고 한다. 연구진은 리그노셀룰로오스를 염화아연 용액에 넣은 뒤 여과, 세척, 건조하는 방식으로 바이오 필름을 추출했다.
보도에 의하면, 큰개기장에서 추출한 바이오 필름은 색상, 투명도, 두께, 습도, 물에 대한 용해도 및 흡수성, 수증기에 대한 투과성 등이 좋았으며, 특히 토양 분해 능력 분석에서도 긍정적인 결과가 나왔다. 바이오 필름 자체는 30%의 습도에서 40일 이내에 토양에서 완전히 생분해된다고 한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활용도가 낮고 저렴하며 풍부한 농업 자이오 매스에서 시작해, 재사용 및 재활용, 퇴비가 가능한 바이오 필름을 설계하고 개발할 수 있는 새로운 기회의 창을 열었을뿐 아니라, 순환 바이오 경제에 기여할 수 있으며 농부들에게 추가 소득을 창출할 수 있다는 것이 연구팀의 결론이다.
"바이오 플라스틱, 미국 초원의 자생 풀에서 추출할 수 있다?", IMPACT ON, 2024년01월08일 수정, 01월08일 접속, https://www.impacton.net/news/articleView.html?idxno=10569
No. | Subject | Date |
---|---|---|
▶ | 바이오 플라스틱, 미국 초원의 자생 풀에서 추출할 수 있다? KABPE / 2024.01.08 |
|
238 | Scientist using lactose to develop bioplastics KABPE / 2024.01.06 |
|
237 | 일회용품 대신 해초 접시로 '한 상' 받으세요 KABPE / 2024.01.05 |
|
236 | 국제 환경규제 ‘발등의 불’… 자연분해 기술로 혁신 안간힘 [심층기획-脫플라스틱 시대] KABPE / 2024.01.04 |
|
235 | SKC, CES 2024서 '생분해 라이멕스' 등 신기술 공개 KABPE / 2024.01.03 |
|
234 | ‘친환경’ CU, 생분해성 바이오 소재 컵라면 2종 선봬 KABPE / 2024.01.02 |
|
233 | 슐저(Sulzer), PLA 제조위한 SULAC™ 솔루션 출시 KABPE / 2023.12.30 |
|
232 | 씨티케이바이오, LG화학과 친환경 생분해 소재 개발 MOU KABPE / 2023.12.29 |
|
231 | 프로팩 남경보 대표 , 생분해성 수지 활용한 ‘생분해성 점착제’ 개발 KABPE / 2023.12.28 |
|
230 | 생분해 친환경제품 ‘플라스틱 대체 기대’ KABPE / 2023.12.27 |
|
229 | 해조류·버섯으로 친환경 포장재 개발 제주서 ‘시동’ KABPE / 2023.12.26 |
|
228 | 칼스테이트 LA와 미세 플라스틱 분해 공동연구 KABPE / 2023.12.22 |
|
227 | 반도체 공정용 ‘플라즈마’, 미생물 폐플라스틱 분해 돕는다 KABPE / 2023.12.21 |
|
226 | 농협하나로마트 'ESG양파' 출시 KABPE / 2023.12.20 |
|
225 | 원자력연, 방사선 이용 친환경 콘크리트 블록 기술 개발 KABPE / 2023.1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