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클라우드 펀딩 플랫폼인 와디즈에서 한국농업의 미래를 밝혀주는 의미 있는 리워딩형 펀딩이 큰 주목을 받으며 성황리에 마무리 됐다.
바로 균사체 가죽(일명 버섯가죽) 전문기업인 헤리팜스가 야심차게 내놓은 버섯가죽 컬렉션 제품이 완판 되는 성과를 낸 것이다. 버섯가죽으로 국내에서 첫 선을 보이며 클러치백 및 핸드백 가격이 70만~128만원으로 상당히 고가임에도 완판된 것은 동물성 가죽을 대체하는 제품으로 그만큼 사회적 관심이 높다는 것을 증명한다. 또한 해외에서 엄청난 주목을 받으며 급성장하고 있는 버섯가죽 산업이 국내에서도 발전 가능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특히 버섯가죽은 버섯산업 분야의 혁명을 불러올 새로운 신기술로 평가받고 있다.
헤리팜스는 국내 최초로 느타리버섯 병 재배시스템을 도입해 해외 수출까지 성공한 마타리푸드그룹에서 2023년 3월 설립했다. 마타리푸드그룹에 속한 버섯생산 전문기업 미미청아랑(주)의 버섯재배 기술을 전수 받아 친환경 신소재인 버섯 가죽 연구 개발로 글로벌 시장을 개척하겠다는 원대한 꿈을 꾸고 있다.
최근 버섯 균사체를 활용한 친환경 소재 개발에 나서게 된 배경은 글로벌 탄소중립을 선언한 국가들의 신패러다임의 변화에 기인한다. 또한 최근 사회적으로 축산농가의 동물복지 정책이 확대되고 식생활에서는 동물성 식품섭취를 반대하는 채식주의자(비건) 문화도 식물가죽 소재 개발을 부추기고 추세다.
헤리팜스에 따르면 기존의 친환경 대체가죽을 향한 연구 개발은 바나나껍질, 망고껍질, 선인장, 대나무, 옥수수 등 다양한 재료를 통해 진행된다. 대나무 소재의 경우 대나무 입자 공기층으로 보온성, 내구성, 내마모성이 강하고 대나무의 폴리페놀 성분으로 박테리아 증식을 막아주는 항균력을 갖는 특성이 있다. 옥수수 소재의 경우에는 옥수수에서 추출한 글루코스(포다당)를 발효 및 정제해서 가공한 젖산을 원료로 만드는 자연순환형 바이오 원료를 사용한다.
그러나 바나나껍질, 망고껍질, 선인장, 대나무, 옥수수 등의 식물성 소재를 사용한 대체가죽 대부분은 사용성과 강도를 높이기 위해 플라스틱을 코팅이나 첨가물로 사용해 ‘순수한 식물성(비건 레더)’이라고 규정하기 어렵다. 순수한 식물성 가죽은 외부·내부의 모든 부분이 친환경적 재료로 만들어 지는 것이 본질이나 상용화를 위해서 생산단가를 적정화하고 천연가죽이나 인조가죽(폴리우레탄(PU)·폴리염화비닐(PVC))의 내구성에 근접해야 하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현재 식물성 가죽의 대부분은 플라스틱의 일종인 폴리우레탄(PU)을 함유하고 있다. 이는 혼방 인조가죽의 형태로 식물성 물질을 직물로 가공하고 그 표면에 폴리우레탄을 코팅해 내수성 및 내구성을 갖추는 공정을 거치기 때문이다. 일부는 재생가능 자원에서 추출한 바이오 플라스틱을 사용하지만 플라스틱의 단점을 나타나고 있다.
이에 식물가죽 소재 중 버섯 균사체를 소재로 하면 플라스틱 코팅이나 첨가물로 사용하는 공정에서 자유롭다. 식물가죽 소재 중에서 ‘진정한 식물성(비건 레더)’ 소재이면서 전 세계적인 이슈인 탄소중립에 부합하는 소재가 바로 버섯 균사체라고 할 수 있다. 현재 국내외 연구기관 및 기업들이 버섯가죽 생산에 대규모 투자를 추진하는 이유도 진정한 비건 레더의 가치를 인정받고 있기 때문이다.
임성혁 헤리팜스 대표는 “버섯 균사체는 천연 소재로서 가공 과정에서 물과 화학물질의 사용량을 줄이고, 탄소 배출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버섯 균사체 가죽은 자연에서 쉽게 분해되므로, 폐기물 문제도 해결 가능하다”라며 “특히 버섯 균사체 가죽은 색상이나 무늬를 자유롭게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디자인적으로 다양한 상품을 제작할 수 있어 고부가가치 상품으로 손색없다”라고 강조했다.
임성혁 헤리팜스 대표는 “아직 비건 레더 글로벌 시장은 일반 가죽시장에 비해 미미하지만 동물성 가죽 제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환경오염 물질 문제로 인해 내년부터 프랑스 파리 패션쇼에서 동물 가죽소재 사용을 금지하고 미국 캘리포니아주는 법령으로 이를 금지했다”라며 “현재 헤리팜스 버섯가죽 제조 기술이 세계 1위 기업의 70% 수준인데 올 연말에는 대등한 수준에 근접하는 만큼 글로벌 시장 개척에 적극 나설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기획] 순수 식물성 버섯가죽 가방…‘탄소중립 아이템’으로 뜬다", 한국농어민신문, 2024년02월16일 수정, 02월17일 접속, https://www.agrinet.co.kr/news/articleView.html?idxno=325076
No. | Subject | Date |
---|---|---|
269 | Using artificial photosynthesis to create biodegradable plastics KABPE / 2024.02.20 |
|
268 | '본죽' 본아이에프, 친환경 소재 스타트업 10억 투자 KABPE / 2024.02.19 |
|
▶ | [기획] 순수 식물성 버섯가죽 가방…‘탄소중립 아이템’으로 뜬다 KABPE / 2024.02.17 |
|
266 | KATRI 시험연구원, TIL과 MOU 체결 KABPE / 2024.02.16 |
|
265 | 웨어러블·친환경·의료용기기에 다양한 솔루션 제공하는 ‘차세대 실’ KABPE / 2024.02.15 |
|
264 | KCL, 가속질량분석기 도입해 바이오매스함량측정 서비스 시작 KABPE / 2024.02.14 |
|
263 | Praj Industries Set to Launch Biodegradable Plastics Pilot Plant in April KABPE / 2024.02.13 |
|
262 | 깨끗한나라, ‘45일 만에 생분해’ 친환경 물티슈 출시 KABPE / 2024.02.08 |
|
261 | Replacing expanded polystyrene with compostable trays for protein packaging KABPE / 2024.02.07 |
|
260 | 식품 부산물, '대체 플라스틱' 만든다…리하베스트-더데이원랩 맞손 KABPE / 2024.02.06 |
|
259 | 버려진 왕겨와 커피박...플라스틱 대체하는 첨단신소재가 되다 KABPE / 2024.02.05 |
|
258 | [단독] CJ제일제당, 친환경 소재 PHA 美 FDA 두번째 승인…북미 시장 확대 KABPE / 2024.01.31 |
|
257 | 생분해성수지 재질 측정 시험방법, 국가표준 제정·고시 KABPE / 2024.01.30 |
|
256 | '100% 생분해 플라스틱'…폴린스, '차세대 상온 생분해 플라스틱 소재' 마스터배치 양산 사업화 KABPE / 2024.01.29 |
|
255 | 인천연구원 “한강으로 유입된 미세플라스틱 인천 연안에 영향” KABPE / 2024.0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