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려지는 어업 장비로 인한 각종 환경오염으로부터 제주 바다를 보호하고 폐그물에 걸린 채 죽어가는 해양생물을 살리기 위해 제주시가 ‘생분해성 어구 보급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나일론 등 합성섬유 어구는 바다에 유실될 경우 분해에만 수백 년이 걸리는 것으로 알려진다. 소각 시 발암물질이 발생하며 매립 시 토양오염도 유발한다.
이 때문에 떠다니는 폐그물 등 버려진 어구에 걸려 해양생물들이 죽어가는 등 해양생태계가 파괴되는 ‘유령어업’ 피해가 꾸준히 발생하고 있다. 제주시에 따르면 연간 3787억원의 피해가 발생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에 제주시는 총사업비 5억 4200만원을 투입해 일정 시간이 지나면 바닷속에서 자연스럽게 분해, 해양오염과 생물 고사 피해를 줄일 수 있는 생분해성 어구 보급사업을 진행 중이다.
생분해성 어구 중 참조기 그물의 경우 바닷물에서 1~2년이 지나면 유령어업 예방 효과가 나타나며, 3~4년 뒤에는 거의 분해되는 특징을 갖는다. 구성하는 그물 실의 굵기나 사용‧보관 조건에 따라 차이는 있다.
어구를 교체하는 데 어업인들의 경제적 부담을 줄이기 위해 제주시는 생분해 어구 조달가격과 나일론 어구 기준단가의 차액을 보조하고 어업인이 자부담한 나일론 어구 구입 가격의 40%를 추가 지원한다.
참조기 자망 1폭당 단가는 나일론어구 3만1660원, 생분해성 어구 13만3770원이다. 만약 어업인이 ‘생분해성 어구’를 구입할 경우 제주시는 두 어구간 차액 10만2110원(13만3770원-3만1660원)과 나일론어구의 40%인 1만2664원을 더한 총 ‘11만4774원’을 지원한다.
관련해 제주시는 지난 2019년부터 5년간 총 23억 1400만원을 투입, 연근해 자망어선 112척에 생분해성 어구 2만 2220폭을 지원한 바 있다.
정성인 해양수산과장은 “청정 제주 바다 해양환경을 보호하고 지속가능한 어장을 조성키 위해 생분해성 어구를 사용하는 참여 어업인이 증가할 수 있도록 행정력을 집중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폐그물에 죽어가는 바다생물, 제주시 ‘생분해성 어구’ 보급 지원, 제주의소리, 2024년 04월 24일 입력,
No. | Subject | Date |
---|---|---|
320 | 울산에 생분해성 포장재 개발 거점… 동성케미컬, 상용화 속도 KABPE / 2024.05.01 |
|
319 | 효성벤처스, 바이오플라스틱용 신소재 기업에 신규 투자 KABPE / 2024.04.30 |
|
318 | 인천EPS "친환경 층간소음 차단재 개발" KABPE / 2024.04.29 |
|
317 | "기름때 페트병도 재활용, 고부가 제품 사활" KABPE / 2024.04.26 |
|
316 | 골칫거리 '식품 폐기물'로 생분해성 플라스틱 만든다 KABPE / 2024.04.25 |
|
▶ | 폐그물에 죽어가는 바다생물, 제주시 ‘생분해성 어구’ 보급 지원 KABPE / 2024.04.24 |
|
314 | 다중층 약물방출 생분해성 소화기계 스텐트 개발…어디? KABPE / 2024.04.23 |
|
313 | SK지오센트릭, 원가·부산물 줄인 생분해성 플라스틱 기술 개발 KABPE / 2024.04.22 |
|
312 | 유통업계, 가치소비 중시 소비자 증가에 친환경 포장재 도입 이어져 KABPE / 2024.04.19 |
|
311 | “생분해성 폴리머 시장, 2030년까지 8조원 달할 것” KABPE / 2024.04.18 |
|
310 | [과학의 달] 한국원자력연구원, 방사선으로 삶의 질 높인다 KABPE / 2024.04.17 |
|
309 | “버섯 신발부터 커피박 공예까지”…음식 넘어선 ‘K-비건페어’ [가봤더니] KABPE / 2024.04.16 |
|
308 | "쓰레기요? 지구를 구하는 귀한 소재입니다" KABPE / 2024.04.15 |
|
307 | CJ제일제당, 생분해성 바이오 소재 칫솔 출시 KABPE / 2024.04.12 |
|
306 | 친환경 플라스틱 소재로 세계 시장에 이름을 날릴 친환경 스타트업 ㈜에코민 김호민 대표 KABPE / 2024.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