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농업기술원은 생분해 유인망 개발에 이어 생분해 피복재 재배 실증에 착수했다고 4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생물자원연구소와 다이텍연구원 등이 실증 연구를 진행한다. 피복재의 물리적 강도 변화와 생분해성, 작물에 미치는 영향 등을 비교 분석한다.
한국환경공단 자료에 따르면 2022년 기준 전국 영농폐비닐 발생량은 31만4000t이지만 수거량은 20만3000t에 그쳤다. 이 중 재활용량은 18만t으로 발생량의 57%에 불가하다.
영농폐비닐은 공동집하장으로 배출하면 지자체에서 수거보상비를 지급하지만 재질·등급별로 분리 배출해야 해 농가는 폐비닐을 쌓아 두거나 묻는 일이 많다. 소각 시에는 산불 발생 위험뿐만 아니라 미세먼지와 이산화탄소 배출 등 환경오염을 유발한다.
생분해 소재는 작물 수확 후 별도의 수거 작업 필요 없이 트랙터나 관리기로 바로 로터리 작업을 하면 된다. 땅속에서 박테리아나 미생물 등 다른 유기체에 의해 자연 분해된다. 기존 피복재를 생분해 소재로 대체할 경우 환경보전뿐만 아니라 폐비닐 수거·분리·집하장 이동 등 일련의 처리 노동력도 줄어든다. 재배기간이 8개월가량인 마 작물의 실증을 완료하면 다른 노지작물로 확대 적용이 가능하다.
조영숙 농업기술원장은 “농업환경을 보전하고 친환경 재배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면서 “더 나은 농업생태계를 미래 세대에 물려주는 것이 목표이다”고 말했다.
No. | Subject | Date |
---|---|---|
350 | 고려대, 전자 부품 성능·수명 연장 기술 연구 개발 KABPE / 2024.06.18 |
|
349 | 울산 북구 버스정류장에 '생분해 봉투'... '쓰레기 가져가세요' KABPE / 2024.06.17 |
|
348 | 성안 앞둔 플라스틱 국제협약, 삼성·LG·CJ 등 대기업 순환경제 전략은? KABPE / 2024.06.14 |
|
347 | 42조원 규모의 글로벌 재활용 포장재 시장 분석, 주요 기업은 어디? KABPE / 2024.06.13 |
|
346 | CPST, 플라스틱 생분해 촉진…산화생분해성 촉진제 ‘d2w’ 세미나 성료 KABPE / 2024.06.12 |
|
345 | ㈜바텍, “건설현장 생분해성 친환경 박리제 필히 사용해야..” KABPE / 2024.06.11 |
|
344 | bhc치킨, 친환경 포장재 쓴다 "6월 말까지 전 매장에" KABPE / 2024.06.10 |
|
343 | CU, CJ제일제당과 친환경 코팅 용기 상품 출시…PHA 기술 적용 KABPE / 2024.06.07 |
|
▶ | 폐기물 줄고 비용도 절감…경북서 생분해성 피복재 실증 착수 KABPE / 2024.06.05 |
|
341 | 탄소중립을 향한 세계 포장 산학의 움직임...그린패키징 국제포럼에서 공유 KABPE / 2024.06.04 |
|
340 | "분해가 너무 빨라"‥친환경 생분해성 비닐 논란 KABPE / 2024.06.03 |
|
339 | 에코그램, ESG패션소재 ‘친환경 기능성 원단 제조방법’ 특허 등록 KABPE / 2024.05.31 |
|
338 | 음식물 쓰레기 분리배출로 친환경에 한걸음 가까워지는 호주 KABPE / 2024.05.30 |
|
337 | “유리파우더 산업화 모색…62조 항균플라스틱 대체 기대” KABPE / 2024.05.29 |
|
336 | 누보-SK리비오 ‘친환경 완효성 코팅비료’ 상업화 위한 업무협약 KABPE / 2024.05.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