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단법인
한국생분해플라스틱생태계협회
  정보/자료 > 자료실

CPST, 플라스틱 생분해 촉진…산화생분해성 촉진제 ‘d2w’ 세미나 성료

• Wirter : KABPE  
• Date : 2024.06.12  
• Hits : 266

미세플라스틱 등 오랜 자연분해 시간으로 주요 환경문제로 떠오른 플라스틱 문제의 해결에 기여할 수 있는 제품이 소개돼 이목이 집중됐다.

㈜CPST는 지난 4일 서울 코엑스 컨퍼런스룸에서 제45회 국제환경산업기술&그린에너지전의 부대행사로 ‘심포니사의 산화생분해성 첨가제 d2w 소개 세미나’를 진행했다. CPST는 영국 화학기업 심포니(Symphony)사로부터 플라스틱의 자연분해를 촉진하는 d2w 산화 생분해성 첨가제를 수입, 한국·일본 시장에 독점판매하는 회사다.

LG화학, 한화솔루션 등 화학·소재기업뿐만 아니라 농협유통, SPC팩 연구소, CJ그룹 등 식품산업 관계자들도 참가한 이날 세미나는 라두 바시우(Radu Baciu) 심포니 기술이사가 플라스틱의 환경오염문제와 d2w 첨가제의 성능과 원리를 발표한 뒤 질의 응답하는 순서로 이뤄졌다.

d2w는 새로운 플라스틱이 아니라 기존 플라스틱에 첨가해 산소, 빛, 열 등으로 분해하는 첨가제다. 때문에 기존 플라스틱 제조 설비에서 활용할 수 있으며 제품에 따라 분해까지 걸리는 기간을 설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전 세계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매년 800만 톤의 플라스틱 폐기물이 바다로 흘러드는 등 폐플라스틱 문제가 세계적으로 심각해지면서 농업 분야 폐플라스틱 처리 문제도 중요해지고 있다.

한국환경공단의 조사에 따르면 2022년 국내 영농폐비닐 발생량은 31만4507톤으로 재활용량은 18만410톤에 불과했다. 품질이 좋은 폐비닐은 민간에서, 이물질이 많은 저품질의 폐비닐은 국가에서 수거·재활용하고 있으나 나머지는 불법 매립 또는 소각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승엽 CPST 대표는 “우리나라에선 대부분의 바이오플라스틱이 분해하기에 적정한 조건에 맞는 매립지가 거의 없어 생분해 플라스틱이 의미가 없지만 d2w는 산소만 있다면 어디서든 생분해가 가능해 적절한 기술”이라며 “북태평양의 플라스틱 쓰레기섬 등 세계적으로 플라스틱 문제가 중요하게 보도되는 가운데 d2w가 플라스틱 문제 해결에 일조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CPST, 플라스틱 생분해 촉진…산화생분해성 촉진제 ‘d2w’ 세미나 성료, 농수축산신문, 2024년 06월 11일 입력,

http://www.afl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73481

• Total : 485 ( 10/33 pages)
No. Subject Date
350 고려대, 전자 부품 성능·수명 연장 기술 연구 개발
KABPE / 2024.06.18
2024.06.18
349 울산 북구 버스정류장에 '생분해 봉투'... '쓰레기 가져가세요'
KABPE / 2024.06.17
2024.06.17
348 성안 앞둔 플라스틱 국제협약, 삼성·LG·CJ 등 대기업 순환경제 전략은?
KABPE / 2024.06.14
2024.06.14
347 42조원 규모의 글로벌 재활용 포장재 시장 분석, 주요 기업은 어디?
KABPE / 2024.06.13
2024.06.13
CPST, 플라스틱 생분해 촉진…산화생분해성 촉진제 ‘d2w’ 세미나 성료
KABPE / 2024.06.12
2024.06.12
345 ㈜바텍, “건설현장 생분해성 친환경 박리제 필히 사용해야..”
KABPE / 2024.06.11
2024.06.11
344 bhc치킨, 친환경 포장재 쓴다 "6월 말까지 전 매장에"
KABPE / 2024.06.10
2024.06.10
343 CU, CJ제일제당과 친환경 코팅 용기 상품 출시…PHA 기술 적용
KABPE / 2024.06.07
2024.06.07
342 폐기물 줄고 비용도 절감…경북서 생분해성 피복재 실증 착수
KABPE / 2024.06.05
2024.06.05
341 탄소중립을 향한 세계 포장 산학의 움직임...그린패키징 국제포럼에서 공유
KABPE / 2024.06.04
2024.06.04
340 "분해가 너무 빨라"‥친환경 생분해성 비닐 논란
KABPE / 2024.06.03
2024.06.03
339 에코그램, ESG패션소재 ‘친환경 기능성 원단 제조방법’ 특허 등록
KABPE / 2024.05.31
2024.05.31
338 음식물 쓰레기 분리배출로 친환경에 한걸음 가까워지는 호주
KABPE / 2024.05.30
2024.05.30
337 “유리파우더 산업화 모색…62조 항균플라스틱 대체 기대”
KABPE / 2024.05.29
2024.05.29
336 누보-SK리비오 ‘친환경 완효성 코팅비료’ 상업화 위한 업무협약
KABPE / 2024.05.28
2024.05.28
GS칼텍스 SCL(재) 서울의과학연구소 아모레퍼시픽 씨티케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