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단법인
한국생분해플라스틱생태계협회
  정보/자료 > 자료실

석유화학 이어 생분해 플라스틱 시장도 중국에 뺏기나

• Wirter : KABPE  
• Date : 2024.06.20  
• Hits : 210

썩지 않는 플라스틱 오염 문제를 일정부분 해결해 줄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는 생분해 플라스틱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가운데, 이 시장도 중국이 저가를 무기로 국내 시장을 빠르게 잠식하고 있다.


기초석유화학에 이어 차세대 시장으로 평가되는 생분해 플라스틱 시장마저 중국에 뺏길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업계는 전략적 차원에서 국내 생산기반 마련이 필요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18일 한국무역협회 수출입통계에 따르면 생분해 플라스틱(HSCODE 3913.90)의 작년 수입액은 3억5993만달러로, 전년보다 51.9% 증가했다.


올해 1~5월 수입액은 1억680만달러로 전년보다 26% 증가에 그쳤지만, 국내 수요가 계속 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올해도 작년과 비슷한 증가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단, HSCODE 3913.90은 중국에서 생분해 플라스틱을 통괄하는 코드로, 한국에서는 다소 다를 수 있다.


우리나라는 생분해 플라스틱 원료의 전량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2023년 수입액 기준으로 주요 수입처는 스웨덴 2억5973만달러(72.2%), 중국 4470만달러(12.4%), 아르헨티나 1298만달러(3.6%) 순이다.


하지만 이는 착시현상이다. 수입물량(중량) 기준으로 보면 상황은 완전히 바뀐다.


2023년 중량 기준으로 주요 수입처는 중국 3729톤(비중 71.5%)이고, 그 뒤로 오스트리아 313톤(6%), 미국 252톤(4.8%), 태국 231톤(4.4%) 등이다. 스웨덴은 39톤으로 0.7%에 불과하다. 사실상 국내 생분해 플라스틱 원료는 중국산에 의존하고 있는 형국이다.


중국산 원료의 가장 큰 무기는 역시 따라 올 수 없는 가격이다. 작년 기준 중국산 수입단가는 톤당 1만1987달러이다. 이는 그 다음으로 수입량이 많은 오스트리아 1만4255달러, 미국 3만4575달러보다 우수하다. 스웨덴 수입단가는 톤당 665만9615달러로 소량의 시험용이 수입된 것으로 추정된다.


중국의 생분해 플라스틱 시장은 강력한 정부 규제와 산업 육성에 힘입어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중국은 2020년 9월부터 분해되지 않는 일회용 플라스틱 제품의 생산, 판매, 사용을 금지하거나 제한하는 법을 시행했으며, 2021년 1월 1일부터는 전국의 식당과 주요 도시의 상점에서 일회용 플라스틱 빨대를 제공하는 것을 금지했다. 2022년 말까지 주요 성시에서 택배업체의 비분해성 플라스틱 포장재와 일회용 부직포 포장재 사용을 금지하고, 비닐테이프 사용량을 줄여야 한다. 2025년부터는 전국 모든 택배업체에서 비분해성 플라스틱 포장재와 일회용 부직포 포장재 사용을 금지하고, 비닐테이프 사용량도 줄여야 한다.


코트라 자료에 따르면 중국의 생분해 플라스틱 원료 생산용량은 2016년 16만6000톤에서 2022년 36만5000톤으로 증가했다. 같은 기간 소비량도 15만1000톤에서 33만8000톤으로 증가했다. 수출액 역시 2021년 6억1358만달러, 2022년 9억8188만달러, 2023년 11억5590만달러로 해마다 급증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기초석유화학 시장을 중국에 뺏긴데 이어 생분해 플라스틱 시장은 아예 잠식당하는 게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국내 석유화학산업은 세계 4위 수준(연간 1270만톤)의 플라스틱 주요 원료인 에틸렌 생산능력을 보유하고 대부분을 중국 등에 수출해 왔다. 하지만 중국이 자국 공급을 넘어 수출시장까지 진출하면서 국내 기초석유화학 제품 수출액은 급격히 감소하고 있다.


생분해 플라스틱은 썩지 않는 플라스틱의 대안으로 주목받으며 국내 석유화학산업의 차세대 시장으로 떠올랐지만 이 시장마저 중국에 잠식당하고 있다.


유럽바이오플라스틱협회에 따르면 글로벌 생분해성 플라스틱 시장 수요는 2021년 155만톤에서 2026년 530만톤으로 연평균 27.9% 성장세가 예상된다.


생분해 플라스틱 원료는 크게 석유계와 식물계가 있다. 2021년 기준으로 석유계 기반의 PBAT가 19.2%, 식물계 기반의 PLA가 18.9%로 가장 높은 비중을 보이고 있다. 앞으로는 석유계 원료에 대한 규제가 강화됨으로써 탄소감축 효과가 있는 PLA 등 식물계 기반 원료가 대세를 이룰 것으로 업계는 전망하고 있다.


PLA의 원료식물은 옥수수와 사탕수수이다. 기술평준화가 머지 않은 점을 감안하면 두 식물의 경제적 재배가 관건이다. 이 문제 때문에 국내 화학사들은 대규모 경작이 가능한 해외에 생산공장을 구축하고 있다.


생분해 플라스틱 업계 한 관계자는 “플라스틱 오염 규제가 강화되면서 생분해 시장은 계속 커질 것으로 전망되는데, 국내에 생산기반이 전혀 없고 대부분을 중국 수입에 의존한다면 향후 예기치 못한 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며 “정부 지원책을 통해 일부라도 국내 생산기반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석유화학 이어 생분해 플라스틱 시장도 중국에 뺏기나, 에너지 경제 신문, 2024년 06월 18일 입력, 

//www.ekn.kr/web/view.php?key=20240618025268475 

• Total : 485 ( 9/33 pages)
No. Subject Date
365 태양광 폐패널 재활용 등 3건 규제특례 부여
KABPE / 2024.07.09
2024.07.09
364 ‘생분해성 비닐’ 품질관리 구멍, 불량품 피해 보상 천차만별
KABPE / 2024.07.08
2024.07.08
363 비오네이쳐, '비오네이쳐 生분해' 출시…노동력 절약부터 환경까지 생각해
KABPE / 2024.07.05
2024.07.05
362 말미잘·홍합 등 해양생물로 생체적합 지혈 드레싱 개발
KABPE / 2024.07.04
2024.07.04
361 "협력 속 지속가능한 성장 기회 발굴" .... LG화학, 2023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
KABPE / 2024.07.03
2024.07.03
360 100% 생분해성 '바이오 플라스틱' 등장...자연퇴비 활용
KABPE / 2024.07.02
2024.07.02
359 유통업계 지속가능성보고서 발간… 친환경 경영에 힘써
KABPE / 2024.07.01
2024.07.01
358 엠아이텍, 빌릭스와 항염증 약물방출형 생분해성 스텐트 공동 연구개발
KABPE / 2024.06.28
2024.06.28
357 [2024 인천강소연구개발특구 기업 CEO] 생분해성 수지로 원료 컴파운드부터 완제품까지 제조하는 기업 ‘팬에코’
KABPE / 2024.06.27
2024.06.27
356 충남도, 생분해 어구 보급… 어장 환경오염 막는다
KABPE / 2024.06.26
2024.06.26
355 사각턱 재수술, PCL+ß-TCP로 자가골 형성 유도
KABPE / 2024.06.25
2024.06.25
354 와인·치킨에 새집 찾아주기 전쟁[생활속산업이야기]
KABPE / 2024.06.24
2024.06.24
353 국내 최초 바이오플라스틱 밸류체인 허브를 구축하는 ‘화이트바이오순환경제산업기술연구조합’
KABPE / 2024.06.21
2024.06.21
석유화학 이어 생분해 플라스틱 시장도 중국에 뺏기나
KABPE / 2024.06.20
2024.06.20
351 미역과 패조류를 건축자재로…‘순환폴리’ 눈길
KABPE / 2024.06.19
2024.06.19
GS칼텍스 SCL(재) 서울의과학연구소 아모레퍼시픽 씨티케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