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대학교 연구진이 기존 플라스틱 대체재로 주목받고 있는 PLA(폴리락타이드)의 강도를 높이는 기술을 개발해 관심을 모으고 있다.
울산대학교는 첨단소재공학부 진정호 교수와 김중권 박사 연구팀이 친환경 생분해 플라스틱 PLA(폴리락타이드)의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4일 밝혔다.
옥수수 전분으로 만드는 PLA는 기계적 강도와 투명성이 우수하고 저탄소 · 생분해성으로 인해 1회용 플라스틱 대체재로 많이 쓰인다.
다만 쉽게 부러지고 내열성이 낮아 산업적으로 적용하기에는 제한이 따른다는 단점도 있다.
이에 따라 산업계와 학계에서는 다양한 첨가물을 통해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특히 첨가물이 합성소재일 경우, PLA의 친환경성과 저탄소 · 생분해성을 저해한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이런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진 교수 연구팀은 친환경 소재로 각광을 받고 있는 나노셀룰로오스와 나노키틴을 이용했다.
기계적 강도와 투명성를 유지하면서도 PLA 단점으로 지적된 취성과 내열성을 개선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한 것.
연구팀이 개발한 PLA 복합소재는 기존 PLA 컴파운드 소재와 다르다.
화학첨가물이 아닌 탄소저감 효과와 생분해성이 탁월한 천연물질인 나노셀룰로오스와 나노키틴 만을 첨가물로 사용했다.
진정호 교수는 "이번에 개발한 기술은 기존 PLA의 잘 부러지는 단점을 획기적으로 극복한 동시에 다른 바이오플라스틱에도 적용이 가능해 범용성을 높이는데 도움을 줄 것"이라고 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복합소재 분야 권위지인 `컴포지트 파트 B: 엔지니어링(Composites Part B: Engineering)`에 지난 15일 게재됐다.
친환경 생분해 플라스틱 강도, 획기적으로 높인다, 노컷뉴스, 2024년 07월 24일 입력,
No. | Subject | Date |
---|---|---|
389 | “생분해 플라스틱, 2028년까지 5배 성장”…갈 길 먼 대한민국 KABPE / 2024.08.16 |
|
388 | 봉투째 업체 넘기고 “재활용률 100%”... 쓰레기의 거짓말 KABPE / 2024.08.10 |
|
387 | 아임에코, 오비맥주 카스와 세계 최초 '컵 투 컵' 친환경 프로젝트 진행 KABPE / 2024.08.09 |
|
386 | 친환경이 아닐지도 몰라요 KABPE / 2024.08.08 |
|
385 | [마이펫페어] 소울랩스, 오놀라 워싱배변패드로 친환경 솔루션 제안 KABPE / 2024.08.07 |
|
384 | 생분해 멀칭필름 사용하면 유기농 취소? KABPE / 2024.08.06 |
|
383 | 조성원 동성케미컬 부사장 “사용 편의성 유지하고 오염 줄여야…생분해 플라스틱이 대안” KABPE / 2024.08.05 |
|
382 | "플라스틱 빨대 반대" 해리스의 플라스틱 정책은? KABPE / 2024.08.02 |
|
381 | [이달의 TIPS] 리터놀, 다이나믹인더스트리, 폿츠컴퍼니, 홈나이, 일만백만, 문카데미, 타이드풀 KABPE / 2024.08.01 |
|
380 | 독일 플라스틱 포장용품 시장 동향 KABPE / 2024.07.31 |
|
379 | 캐나다 플라스틱 포장재 시장동향 KABPE / 2024.07.30 |
|
378 | 플라스틱 용기→친환경 용기, 화장품 업계 "우리도 친환경 한다" KABPE / 2024.07.29 |
|
377 | 생분해성 수지 이용한 완효성 코팅비료로 글로벌 시장 공략 박차 KABPE / 2024.07.26 |
|
376 | 바이오플라스틱이 알려주는 자연과의 공존 KABPE / 2024.07.25 |
|
▶ | 친환경 생분해 플라스틱 강도, 획기적으로 높인다 KABPE / 2024.07.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