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단법인
한국생분해플라스틱생태계협회
  정보/자료 > 자료실

캐나다 플라스틱 포장재 시장동향

• Wirter : KABPE  
• Date : 2024.07.30  
• Hits : 124

상품명 및 HS코드


HS Code 3923호는 플라스틱으로 만든 물품 운반 또는 포장 용기플라스틱으로 만든 뚜껑 마개 캡과 이와 유사한 물품들로그중에서 에틸렌 중합체로 만들어진 포장 제품 (Sacks and bags of polymers of ethylene)은 해당 호의 하위 품목인 3923.21호로 분류된다에틸렌 중합체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으로도 불리며 가볍고 튼튼하며 가공하기 쉬운 특징 때문에 각종 용기나 포장지에 등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시장동향


캐나다의 플라스틱 포장재 시장은 온라인 및 전자상거래 성장과 포장 식품 수요 증가에 힘입어 지속적으로 성장했다. 시장조사기관 유로모니터(Euromonitor)에 따르면, 2023년 캐나다 플라스틱 포장 시장 규모는 전년 대비 4.4% 증가한 128억1270만 캐나다 달러를 기록했으며 지난 5년간 연평균 5.6% 성장률로  성장했다.


<2018~2023년 캐나다 플라스틱 포장 시장 규모>

(단위: C$ 백만)

구분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플라스틱 포장

9,759.3

9,195.3

9,426.8

11,182.5

12,277.9

12,812.7

[자료유로모니터]


최근 캐나다 정부의 플라스틱 규제 조치와 지속가능성에 대한 소비자들의 수요가 맞물리면서 다음과 같은 시장 트렌드가 나타나고 있다.


1) 정부 규제에 따른 포장재 변화


2022년 12월부터 캐나다는 일회용 플라스틱 규제(Single-use Plastics Prohibition Regulation, SUPPR)를 시행하여 일회용 비닐봉지식기류음식 포장 용기 등 총 6개의 일회용 플라스틱 제품에 대한 수입제조를 금지했다. 2023년 11월 금지 규제가 불합리하고 반헌법적이라는 캐나다 연방법원의 판결로 현재 캐나다 정부는 항소 중이지만이미 많은 식료품 업계에서는 일회용 포장 봉투를 더 이상 제공하지 않으며 식음료 업계에서도 일회용 빨대를 제공하지 않는 등 다양한 산업에서 플라스틱 포장재 사용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고 있다.


또한, 2024년 4월 캐나다 정부는 플라스틱 사용을 제한하기 위해 캐나다에 수입 및 유통되는 플라스틱에 대해 연방 플라스틱 등록소(Federal Plastic Registry)에 신고를 의무화하는 정책을 발표했다의무화 정책에 속하는 주요 제품으로 플라스틱 포장재일회용 제품 등이 포함됐다이러한 규제는 기업들이 플라스틱 포장재를 지속 가능한 친환경 제품으로 전환하도록 촉진하고 있다기업들은 플라스틱 사용을 줄이고재활용 재료 및 생분해성 재료를 사용한 포장재를 생산하는 등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캐나다 포장재 기업 중 하나인 Good Natured Products Inc.는 재생 가능한 식물 기반 재료를 사용한 포장재를 개발했다친환경 포장재 제품은 화학물질 없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고 상업적 퇴비 시설에서 180일 이내에 분해된다이러한 혁신적인 포장재 제품은 더욱 수요가 많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2) 지속 가능한 포장 수요 증가


코로나19 이후 변화된 소비 패턴과 환경에 대한 인식 변화는 지속 가능한 포장 수요 증가를 이끌었다유로모니터에 따르면코로나19 이후 식음료 카테고리에서 포장 수요가 증가했으며특히 소스딥 및 양념 포장 시장에서 플라스틱 리필 팩 파우치의 수요가 크게 늘어났다플라스틱 리필 팩 파우치는 재밀봉 기능으로 남은 내용물을 신선하게 유지할 수 있고소비자가 원하는 양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어 실용적이다또한리필 팩 파우치의 높은 재활용 가능성은 환경 영향을 최소화하려는 소비자들의 요구와 맞물려 그 인기를 더해가고 있다이처럼 캐나다에서 지속 가능한 포장 수요는 앞으로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캐나다 수입동향 및 대한 수입규모


폴리에틸렌 포장재가 속한 HS Code 3923.21호 제품군의 캐나다 전체 수입액은 지난 4년간(2019~2022년) 꾸준히 증가했으나, 2023년 소폭 감소했다. 2023년 기준 캐나다가 수입한 플라스틱 포장재 규모는 약 72513만 캐나다 달러로전년 대비 6.5% 감소했다주요 수입국은 미국으로 2023년 44624만 달러 규모로 전체 수입 시장의 61.5%를 차지했고 그 뒤를 이어 중국이 15602만 달러 규모로 21.5%를 차지했다한편한국은 2023년 기준 3위에 위치해 있으며 약 3165만 캐나다 달러 규모의 수입이 이뤄져 총수입량의 4.4%를 차지했다.


<최근 5년간 주요 수입국 현황(HS Code 3923.21기준)>

(단위: $C )

순위

국가·지역

2019

2020

2021

2022

2023

1

미국

326,389

348,071

380,921

446,286

446,241

2

중국

163,380

166,911

177,854

188,439

156,029

3

한국

35,549

32,249

38,802

38,211

31,653

4

멕시코

3,169

4,301

3,813

12,649

16,472

5

태국

21,612

19,092

18,434

22,569

14,949

6

대만

10,802

13,077

12,892

13,071

11,910

7

베트남

11,962

13,317

14,396

18,206

11,060

8

튀르키예

590

1,398

2,562

7,467

7,009

9

재수입

523

1,380

1,949

2,739

3,816

10

스페인

831

2,206

2,283

475

3,100

전 세계

604,211

624,775

679,436

775,940

725,133

[자료캐나다 통계청(Statistics Canada)]


경쟁동향


플라스틱 포장재 시장은 회사마다 기술력과 가격 차이가 적어 진입장벽이 낮다시장조사기관 IBIS World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시장 점유율이 5.0% 넘는 기업은 없다이 시장은 주로 여러 현지 중소업체들로 구성되어 있으며일부 대규모 다국적 기업들도 존재한다.


유통구조


플라스틱 포장재 시장은 공급업체로부터 원자재를 납품받아 이를 가공하여 제품으로 만든 후음료 및 식품 제조업체운송 업체 등 해당 산업에 속하는 기업에 직접 제품을 공급하는 방식으로 유통된다또는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포장재를 주문하고 납품하는 방식도 활용된다.


관세율


캐나다 국경관리청(Canada Border Services Agency, CBSA)에 따르면 HS Code 3923.21호는 한국산의 경우 한-캐 FTA로 인한 관세 혜택으로 무관세가 적용된다폴리에틸렌 포장재의 세부 품목 및 하위 품목 HS코드 4자리 이상에 대한 자세한 관세율은 캐나다 국경관리청이 발표한 관세율 안내 자료* 페이지 39-20에서 확인 가능하다한국 관세는 KRT(Korea Tariff)로 표시돼 있다.

*:(관세율 안내 자료) https://www.cbsa-asfc.gc.ca/trade-commerce/tariff-tarif/2024/01-99/ch39-2024-eng.pdf


인증


캐나다로 플라스틱 포장재 수출 시 수출업체가 반드시 취득해야 하는 인증은 없다다만-캐 FTA상의 원산지 결정 기준에 따라 한국산으로 인정받기 위해 캐나다 세관 통관 시 원산지 증명서(Certificate of Origin, COO) 등 필요 서류를 갖춰야 무관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시사점


캐나다 정부의 플라스틱 금지 규제와 지속 가능한 포장재 수요 증가는 폴리에틸렌 포장재 수입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기존의 폴리에틸렌 포장재는 주로 일회용 플라스틱 제품으로 사용되며규제 강화로 수요가 줄어들 가능성이 크다대신 재활용이 가능하고 지속 가능한 대체 포장재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이는 폴리에틸렌 포장재를 제조 및 수출하는 우리 기업에 새로운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친환경 포장 솔루션을 개발하고 도입하는 기업은 시장에서 경쟁력을 가지고지속 가능한 경영을 통해 브랜드 이미지를 향상시키며 소비자의 신뢰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따라서 기업들은 환경 규제에 발맞춰 지속 가능성을 고려한 혁신적인 포장 솔루션을 적극적으로 도입해야 한다.

 


자료캐나다 환경부캐나다 통계청캐나다 국경관리청유로모니터, ISIB월드앰코, KOTRA 토론토 무역관 자료 종합


캐나다 플라스틱 포장재 시장동향,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2024년 07월 29일 입력, 

https://dream.kotra.or.kr/kotranews/cms/news/actionKotraBoardDetail.do?SITE_NO=3&MENU_ID=190&CONTENTS_NO=2&bbsGbn=254&bbsSn=254&pNttSn=217663

• Total : 485 ( 8/33 pages)
No. Subject Date
380 독일 플라스틱 포장용품 시장 동향
KABPE / 2024.07.31
2024.07.31
캐나다 플라스틱 포장재 시장동향
KABPE / 2024.07.30
2024.07.30
378 플라스틱 용기→친환경 용기, 화장품 업계 "우리도 친환경 한다"
KABPE / 2024.07.29
2024.07.29
377 생분해성 수지 이용한 완효성 코팅비료로 글로벌 시장 공략 박차
KABPE / 2024.07.26
2024.07.26
376 바이오플라스틱이 알려주는 자연과의 공존
KABPE / 2024.07.25
2024.07.25
375 친환경 생분해 플라스틱 강도, 획기적으로 높인다
KABPE / 2024.07.24
2024.07.24
374 굿네이버스글로벌임팩트X커피앳웍스, 커피박 트레이 업사이클링 제품 협업
KABPE / 2024.07.23
2024.07.23
373 친환경 제품 찾는 사람들...제주에 불어닥친 ‘가치소비’
KABPE / 2024.07.22
2024.07.22
372 이산화탄소로 만든 바이오플라스틱…세계 최고 생산성 달성
KABPE / 2024.07.19
2024.07.19
371 (게임체인저 기술)②'잘 썩는 플라스틱' 개발 전쟁
KABPE / 2024.07.18
2024.07.18
370 '재활용률 99.7%' 종이 포장재 나온다… 무늬만 친환경 단점 극복
KABPE / 2024.07.16
2024.07.16
369 애경케미칼, 조비와 생분해성 비료 개발…포스코인터 팜농장 수출
KABPE / 2024.07.15
2024.07.15
368 GS25, 동해·남해 해수욕장서 해양쓰레기 줄이기 캠페인
KABPE / 2024.07.12
2024.07.12
367 미래 유망 신사업 대전 '바이오플러스 2024' 가보니
KABPE / 2024.07.11
2024.07.11
366 우리가 무심코 쓰는 물티슈, 지구는 ‘몸살’
KABPE / 2024.07.10
2024.07.10
GS칼텍스 SCL(재) 서울의과학연구소 아모레퍼시픽 씨티케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