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단법인
한국생분해플라스틱생태계협회
  정보/자료 > 자료실

`얇고 가벼운 페트병` 먹는샘물 나온다 …연간 플라스틱 127t 절감

• Wirter : KABPE  
• Date : 2024.10.04  
• Hits : 75

외국 여행 시 `익숙하지만 생소하게` 느껴지는 것 중 하나가 생수병입니다. 병의 `벽체` 두께가 국내 제품들보다 얇아 가볍고 빈 병이 됐을 때 힘을 가하면 쉽게 찌그러지는 것이 외국 생수병의 특징입니다.

국내에도 외국 생수병처럼 경량화된 페트병을 쓰는 먹는샘물 제품이 나옵니다.

환경부는 국내 최저 중량 페트병을 사용한 롯데칠성음료 먹는샘물 `아이시스 N`이 8일 출시된다고 오늘(3일) 밝혔습니다.

이번에 시장에 선보이는 아이시스 N 페트병 중량(500㎖ 기준)은 9.4g으로 기존(11.6g)보다 2.2g 가볍습니다.

페트병을 만드는 데 드는 플라스틱 사용량은 20~30% 적어 연간 127t의 플라스틱을 덜 소모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경량화된 페트병은 `쉽게 찌그러진다`가 장점이자 단점입니다.

잘 찌그러지는 특성은 빈 병을 분리배출할 때는 장점이지만 물을 담은 채 제품으로 유통되는 시점에서는 훼손될 위험이 크다는 점에서 단점입니다.

단점을 보완하고자 이번에 출시되는 아이시스 N 제품은 국내 먹는샘물 제품 중 처음으로 질소 충전 방식을 택했습니다. 페트병에 액체질소를 주입, 액체질소가 기화하면서 팽창해 병 내부 압력을 유지해 병의 강도를 강화한 것입니다.

질소 충전 방식은 커피나 혼합 음료, 액상 차 등에 이미 활용되고 있습니다.

외국은 먹는샘물에도 질소 충전 방식을 적용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국내의 경우 규제는 없지만 `먹는샘물에도 질소 충전 방식을 적용해도 된다`라는 지침도 명확하지 않은 점이 도입을 막는 요인으로 업계에서 꼽혀왔습니다.

지난 2021년 상반기 국립환경과학원이 질소 충전이 먹는샘물 질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점을 확인했고 이에 환경부는 그해 하반기 롯데칠성음료와 시범사업에 착수했습니다.

환경부는 앞으로 질소 충전 먹는샘물 유통·판매 시 문제점이 없는지 확인하고 질소 충전 여부를 제품에 표기하게 할지 등을 검토할 계획입니다.

이승환 환경부 물이용정책관은 "기업이 플라스틱 저감을 위해 자발적으로 질소 충전 먹는샘물 생산을 위한 협력을 제안하고, 실제 제품을 생산하는 데까지 이르렀다는 점이 매우 고무적이다"라면서 "질소 충전 먹는샘물이 늘어나도록 다른 업체와도 협력하겠다"라고 말했습니다.


`얇고 가벼운 페트병` 먹는샘물 나온다 …연간 플라스틱 127t 절감, MBN, 2024년 10월 03일 입력, 

https://n.news.naver.com/article/057/0001845078?cds=news_edit


• Total : 485 ( 5/33 pages)
No. Subject Date
425 '생분해성 플라스틱' 수거코드 부여 2027년에나 가능?
KABPE / 2024.10.18
2024.10.18
424 그린웨일 글로벌, 플라스틱 오염 문제 해결 앞장
KABPE / 2024.10.17
2024.10.17
423 국내외 친환경 플라스틱 전문가들 인천에 모인다
KABPE / 2024.10.16
2024.10.16
422 LGD, 하이엔드 노트북용 LCD 패널 '탄소 배철 저감 인증' 획득
KABPE / 2024.10.15
2024.10.15
421 생분해플라스틱, 플라스틱 순환경제 구축할 수 있을까
KABPE / 2024.10.14
2024.10.14
420 동국씨엠, 세계 최초 생분해성 보호필름 개발
KABPE / 2024.10.11
2024.10.11
419 울산시, ‘썩는 플라스틱’ 홍보 나섰다
KABPE / 2024.10.08
2024.10.08
418 영국 플라스틱 포장용기 시장 동향
KABPE / 2024.10.07
2024.10.07
'얇고 가벼운 페트병' 먹는샘물 나온다 …연간 플라스틱 127t 절감
KABPE / 2024.10.04
2024.10.04
416 생수 마실 때 미세플라스틱 꿀꺽… 뇌-태반에도 쌓인다
KABPE / 2024.09.30
2024.09.30
415 갑오징어 추출물로 만든 필름, '완전 생분해' 달성
KABPE / 2024.09.27
2024.09.27
414 [TAIPEI PLAS 2024] 플라스틱·고무 산업 지속 가능 혁신 솔루션 제시
KABPE / 2024.09.26
2024.09.26
413 [단독] 제2 종이 빨대 정책 되나...이번엔 ‘플라스틱 물티슈 OUT’
KABPE / 2024.09.25
2024.09.25
412 연 최대 50억개 ‘잃어버린 골프공’ 어쩌나
KABPE / 2024.09.24
2024.09.24
411 생분해 비닐·빨대 허용 2028년까지 연장키로
KABPE / 2024.09.23
2024.09.23
GS칼텍스 SCL(재) 서울의과학연구소 아모레퍼시픽 씨티케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