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단법인
한국생분해플라스틱생태계협회
  정보/자료 > 자료실

“새해에는 지속가능한 제품 소비가 대세”

• Wirter : KABPE  
• Date : 2025.01.20  
• Hits : 23

최근 지속적으로 예측 불가능한 이상 기후 현상들이 발생하며 환경 보호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실제로 트렌드코리아 2025는 소비 트렌드의 핵심 키워드 중 하나로 기후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태도 혹은 능력을 일컫는 ‘기후감수성’을 꼽는 등 환경 문제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러한 인식 변화는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코바코)가 소비자 2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2025년 새해 소비 트렌드 전망’ 결과에도 나타났다. 조사에 따르면 소비자 10명 중 9명(87.4%)은 ‘기후변화로 인한 환경문제가 심각하다고 생각한다’고 응답했다.

또한, 제품을 구매할 때 ‘환경적으로 지속가능한 제품을 구매하기 위해 더 많은 비용을 지불할 의향이 있다’는 응답자도 62.4%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새해에도 지속가능한 제품을 구매하는 것이 소비 트렌드로 떠오르며 친환경 제품이 여전한 인기를 끌 것으로 보인다.

음식물쓰레기를 소각할 때는 메탄가스를 방출하는데 이는 이산화탄소보다 강력한 온실가스로 지구온난화와 기후변화에 악영향을 미친다. 가정용 음식물처리기는 음식물쓰레기 배출량 감소에 기여할 수 있어 음식물쓰레기 처리로 인해 발생하는 온실가스 감축에 도움이 된다. 이로 인해 지자체에서도 매년 보급 지원금을 늘리는 등 환경보호를 위해 사용이 장려되고 있다.


스마트카라는 전 제품이 환경부 음식물쓰레기 감량화 기기 인증 기준인 ‘EL767’을 통과해 친환경 인증마크를 획득한 대표적인 친환경 음식물처리기 브랜드다. 해당 인증 기준은 △감량 △절전 △저소음 △탈취성능 △에너지소비 저감 기준에 부합해야만 통과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스마트카라는 제품의 친환경성을 인정받아 지난 2017년부터 8년 연속 음식물처리기 설치 보조금 지원사업 대상으로 선정됐다.

특히, 지난해 출시한 신제품 2종(△블레이드X △스마트카라 400 Pro 2)은 자체 설계한 BLDC 모터를 탑재해 기존 모터의 수명, 마찰소음, 전기효율 등을 한층 업그레이드했다. 터치 한 번으로 음식물의 부피를 최대 94%까지 감량해주어 음식물쓰레기를 한 줌의 가루 형태로 만든다. 또한, 패키지 박스에 재생 펄프를 적용하고 포장 비닐을 생분해성 비닐로 변경하는 등 친환경적인 측면도 강화했다.

생활용품 또한 친환경 소재를 찾는 소비자가 늘어나고 있다. 특히 환경 오염의 주범으로 알려진 플라스틱은 제작부터 폐기에 이르는 전 과정에서 기후변화의 핵심 원인인 온실가스를 배출해 기업들은 이를 대체하는 소재를 활용한 생활용품을 선보이고 있다.

락앤락은 ‘2050년 탄소중립’이라는 목표를 세우고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단기 및 중장기 플랜 구축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국내뿐 아니라 중국, 베트남, 미국 법인을 포함하여 사업장별 에너지 소비량, 용수 사용량 및 온실가스 배출량을 측정하여 현황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보다 체계적인 탄소 감축 및 에너지 절감을 위한 전사 계획을 수립 중에 있다.

락앤락의 식품보관용기인 ‘비스프리 퓨어’는 곡물에서 추출한 원료를 10% 함유한 ‘에코젠 프로’를 바디에 사용했다. 해당 소재는 일반 플라스틱 대비 탄소 배출량을 약 60% 감소시켜 친환경적인 선택지를 제공한다. ‘비스프리 퓨어’는 고온에 견딜 수 있는 내구성과 함께 색상 및 냄새 배임에도 강한 것이 특징이다.

국내 최장수 숲 환경 공익 캠페인 ‘우리강산 푸르게 푸르게’로 널리 알려진 유한킴벌리는 친환경 종이 물티슈로 지속가능경영을 실천하고 있다. 유한킴벌리는 오는 2030년까지 지속가능한 상품에서 매출의 95%를 달성한다는 목표 아래 친환경 혁신 제품을 선보이고 있다.

유한킴벌리가 지속가능 상품으로 선보인 물티슈는 공기로 원단을 건조하는 자사 고유의 UCTAD공법을 적용해 100% 천연펄프 원단으로 제작됐다. 무엇보다 산림자원 보존을 위해 지속가능한 인공조림에서 생산된 FSC 인증 펄프를 사용한다. 기존 일반 물티슈를 스카트 에코 종이 물티슈로 대체할 경우 시뮬레이션한 결과 70매 사용 기준 약 47g의 플라스틱이 저감되는데, 이는 2리터 페트병에 해당하는 양이다. 기존 일반 물티슈를 종이 물티슈로 바꾸기만 해도 플라스틱 감축에 도움이 된다.


“새해에는 지속가능한 제품 소비가 대세”, 글로벌이코노믹스, 2024년 1월 16일 입력, 

https://www.g-enews.com/ko-kr/news/article/news_all/2025011610325099660687539213_1/article.html

• Total : 485 ( 1/33 pages)
No. Subject Date
485 서스테이너블랩 "제품 하나 판매하면 나무 한 그루 심는 효과"
KABPE / 2025.02.05
2025.02.05
484 '친환경' 물살 탔던 '폐플라스틱 재활용 공장'…건설 무기한 연기
KABPE / 2025.02.04
2025.02.04
483 CJ제일제당이 독일 원예박람회 등장한 까닭은…PHA 기술력 뽐낸다
KABPE / 2025.02.03
2025.02.03
482 BADP 코리아, 플라스틱 생분해 기술 국내 최초 인도 진출
KABPE / 2025.01.31
2025.01.31
481 폐자원 신기술·천연가스 확보…공기업 "을사년은 에너지 혁신의 해"
KABPE / 2025.01.24
2025.01.24
480 강원대, 2024 KNU 통합 창업아이디어 경진대회 개최
KABPE / 2025.01.23
2025.01.23
479 "너두 받았니 나두" 설 명절 플라스틱 대신 자리잡은 종이포장재
KABPE / 2025.01.22
2025.01.22
478 환경부, '순환경제 규제샌드박스' 신기술 9건 승인
KABPE / 2025.01.21
2025.01.21
“새해에는 지속가능한 제품 소비가 대세”
KABPE / 2025.01.20
2025.01.20
476 "플라스틱 없는 설 보내세요"…제지업계, 친환경 포장재 확대 집중
KABPE / 2025.01.17
2025.01.17
475 국립부경대 학부생들, 생분해성 플라스틱 원료 '3-HP' 상용화 가능성 제시
KABPE / 2025.01.16
2025.01.16
474 친환경 포장재 기업 ‘어스폼’, 시드 투자 유치
KABPE / 2025.01.14
2025.01.14
473 인류와 지구를 위협하는 심각한 플라스틱 환경오염 문제 해결
KABPE / 2025.01.13
2025.01.13
472 환경 분야 국가표준(KS) 166종 국제표준 일치화로 국가경쟁력 강화
KABPE / 2025.01.10
2025.01.10
471 건강 위협하는 미세 플라스틱 폐기물 생분해성 재활용 극대화
KABPE / 2025.01.09
2025.01.09
GS칼텍스 SCL(재) 서울의과학연구소 아모레퍼시픽 씨티케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