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제지업계가 개발한 친환경 패키지가 설 명절을 앞두고 주목받고 있다. 플라스틱과 과대 포장 등 소비자들이 환경에 대한 경각심이 높아지면서 이들 제품에 관심이 커지고 있는 것. 특히 식품·화장품 등 유통업체들이 제품 적용에 적극나서면서 제지 업계가 개발한 포장재가 플라스틱 대체제로 자리잡고 있는 모양새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환경부와 서울시 등 지자체는 설 명절 기간인 이달 25일부터 내달 2일까지 선물세트 등 과대포장 우려 제품에 대한 포장공간 비율과 횟수 준수 여부를 집중 점검한다. 과대포장으로 적발되면 제조자에게 300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할 방침이다.
정부가 집중 규제에 나선 가운데 일회용 포장재와 과대포장을 기피하는 소비자들도 많아지면서 선물 세트를 생산하는 업체들도 친환경 전환에 나서고 있다.
사조대림의 경우 이번 설 명절 선물세트 중 `ECO(에코) 고급유세트`에 무림이 공동으로 디자인 출원한 `펄프몰드 케이스`를 적용했다. 무림의 펄프몰드는 지속가능성 관련 국제 인증을 획득한 소재다. 유럽 튀프 오스트리아의 생분해성 인증 중 최고 등급을 받았으며, 호주 바이오플라스틱협회의 생분해인증도 통과했다.
사조대림에 따르면 이번 선물세트에 펄프몰드를 적용함으로써 플라스틱 약 90t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무림의 펄프몰드는 사조대림 외에도 치킨 프랜차이즈 교촌치킨의 치킨박스 생산에도 사용되고 있다.
무림은 화장품, 식품 기업과의 협업도 활발히 하고 있다.
무림은 낮은 온도 상태에서도 장시간 보관이 가능하고 내구성이 뛰어난 친환경 종이 `네오포레 플렉스`를 사용해 한국콜마와 함께 마스크팩 패키징을 개발했다. 플라스틱 사용량을 기존 마스크팩 패키징보다 45% 줄였지만 기능성은 그대로 유지된다. 사조대림 외에도 대상과 동원F&B 등 대표 식품 기업들도 친환경 선물 세트를 출시하면서 친환경 행보를 강조하고 있다. 대상은 청정원 명절 선물 세트에 플라스틱을 전혀 사용하지 않은 `올 페이퍼 패키지`를 적용했으며, `펄프 프레스` 기술을 활용해 종이 트레이를 활용했다. 동원F&B도 종이와 재활용 플라스틱으로 포장한 선물 세트를 선보였다.
업계 관계자는 "선진국에서 시작된 친환경 바람이 이제는 국내에서도 여러 산업으로 번지고 있다"며 "특히 지난해부터 본격적으로 친환경 패키징을 도입하는 기업들이 많아지면서 제지 업계도 바삐 움직이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최근 제지 기업들은 친환경 포장재가 단순히 폐기물을 줄이는 데 그치지 않고, 플라스틱과 스티로폼 등 기존 포장재에 버금가는 우수한 기능을 갖췄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종이 대체제를 사용하면 `불편하다`는 인식을 바꾸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것이다.
그중 하나가 한솔제지가 개발한 친환경 종이 포장재 `프로테고`다. 프로테고는 무인양품이 출시하는 리필용 샴푸, 바디워시 등 제품 11종의 포장재로 쓰이고 있다.
특히 프로테고는 기존 종이 포장재와 달리 수분을 차단할 수 있다는 점에서 플라스틱 대체제로 각광 받고 있다. 한솔제지에 따르면 프로테고는 전과정평가(LCA) 기법으로 분석한 결과 기존 플라스틱 제품 대비 탄소 배출량을 39% 저감할 수 있다. 최근 프로테고에 적용된 제조 기술은 산업통상자원부가 주관하는 녹색기술인증을 획득했다.
한솔제지는 이마트, CJ대한통운, 롯데웰푸드 등 다양한 등과 업무협약을 맺고 종이 패키징을 공급하고 있다.
한솔제지 관계자는 "이번 녹색기술인증 획득을 통해 한솔제지의 기술력은 물론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기 위한 회사의 노력을 인정 받았다"며 "앞으로도 친환경을 가장 중요한 가치로 삼아 지속가능한 환경 생태계 구축에 기여하며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너두 받았니 나두" 설 명절 플라스틱 대신 자리잡은 종이포장재, 파이낸셜 뉴스, 2024년 1월 21일 입력,
No. | Subject | Date |
---|---|---|
485 | 서스테이너블랩 "제품 하나 판매하면 나무 한 그루 심는 효과" KABPE / 2025.02.05 |
|
484 | '친환경' 물살 탔던 '폐플라스틱 재활용 공장'…건설 무기한 연기 KABPE / 2025.02.04 |
|
483 | CJ제일제당이 독일 원예박람회 등장한 까닭은…PHA 기술력 뽐낸다 KABPE / 2025.02.03 |
|
482 | BADP 코리아, 플라스틱 생분해 기술 국내 최초 인도 진출 KABPE / 2025.01.31 |
|
481 | 폐자원 신기술·천연가스 확보…공기업 "을사년은 에너지 혁신의 해" KABPE / 2025.01.24 |
|
480 | 강원대, 2024 KNU 통합 창업아이디어 경진대회 개최 KABPE / 2025.01.23 |
|
▶ | "너두 받았니 나두" 설 명절 플라스틱 대신 자리잡은 종이포장재 KABPE / 2025.01.22 |
|
478 | 환경부, '순환경제 규제샌드박스' 신기술 9건 승인 KABPE / 2025.01.21 |
|
477 | “새해에는 지속가능한 제품 소비가 대세” KABPE / 2025.01.20 |
|
476 | "플라스틱 없는 설 보내세요"…제지업계, 친환경 포장재 확대 집중 KABPE / 2025.01.17 |
|
475 | 국립부경대 학부생들, 생분해성 플라스틱 원료 '3-HP' 상용화 가능성 제시 KABPE / 2025.01.16 |
|
474 | 친환경 포장재 기업 ‘어스폼’, 시드 투자 유치 KABPE / 2025.01.14 |
|
473 | 인류와 지구를 위협하는 심각한 플라스틱 환경오염 문제 해결 KABPE / 2025.01.13 |
|
472 | 환경 분야 국가표준(KS) 166종 국제표준 일치화로 국가경쟁력 강화 KABPE / 2025.01.10 |
|
471 | 건강 위협하는 미세 플라스틱 폐기물 생분해성 재활용 극대화 KABPE / 2025.0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