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단법인
한국생분해플라스틱생태계협회
  정보/자료 > 자료실

새로운 생분해성 플라스틱, 빠르게 용해돼 `미세 플라스틱` 남기지 않아

• Wirter : KABPE  
• Date : 2025.04.02  
• Hits : 50

바닷물에 닿으면  몇 시간 만에 완전히 용해돼 미세 플라스틱을 남기지 않는 새로운 생분해성 플라스틱이 개발돼 환경 문제 해결에 중요한 역할을 할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외신에 따르면 일본 RIKEN 연구소의 과학자들은 바닷물에 닿으면 단 몇 시간 만에 완전히 용해돼 기존의 플라스틱처럼 미세 플라스틱을 남기지 않으며 안전한 화합물만을 남기는 새로운 생분해성 플라스틱을 개발했다. 이는 플라스틱 폐기물이 환경에 미치는 악영향을 줄일 수 있는 획기적인 진전으로 주목받고 있다.

플라스틱은 그 특유의 내구성 덕분에 다양한 산업에서 유용하게 사용되지만, 한 번 사용된 후에는 분해되지 않아 환경에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

특히, 바다에 버려진 플라스틱은 수십 년, 심지어 수백 년 동안 분해되지 않고, 그 사이에 미세 플라스틱을 형성해 인간과 자연에 해를 끼친다.

이에 비해 RIKEN 연구팀이 개발한 새로운 플라스틱은 사용 후 바닷물에 담그면 약 8시간 만에 완전히 녹아 사라지며, 분해되는 과정에서 해로운 미세 플라스틱을 남기지 않는다.

이 플라스틱은 `초분자 중합체`로 만들어졌으며, 연구팀은 이를 통해 플라스틱이 일상적인 용도에서 충분히 강하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했다.

또한, 바닷물에서 쉽게 분해될 수 있도록 화학적 결합을 조정하여, 물리적 특성은 기존 플라스틱과 유사하되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했다.

연구팀은 이 플라스틱이 바닷물에 잠기면 자연스럽게 안전한 화합물로 변하며, 그 과정에서 환경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한편, 이 플라스틱은 소수성 코팅을 통해 조기 분해를 방지할 수 있으며, 대규모 재활용 공정을 통해 안전한 화합물만을 회수할 수 있는 방법도 연구 중이다.

이러한 새로운 기술은 플라스틱 폐기물 문제를 해결하는 중요한 단초가 될 수 있으며, 향후 바다로 흘러가는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를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 연구는 Science 저널에 게재됐으며, 향후 환경 보호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새로운 생분해성 플라스틱, 빠르게 용해돼 `미세 플라스틱` 남기지 않아, 에너지데일리, 2025년 04월 01일 입력, 

https://www.energydail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54696 

• Total : 524 ( 1/35 pages)
No. Subject Date
524 “생수병 플라스틱 반입 금지합니다”…내한 콜드플레이 공연서 왜?
KABPE / 2025.04.18
2025.04.18
523 플랜트너, 2025 경기도 기후테크 전시회서 친환경·식물성 ‘알긴산’ 폴리머 잠재력 알려... “생분해성 플라스틱부터 비료까지 폭넓은 활용도”
KABPE / 2025.04.17
2025.04.17
522 삼성E&A, 중동 첫 생분해성 플라스틱 플랜트 수주…친환경 시장 진출
KABPE / 2025.04.16
2025.04.16
521 다담에코, 국내 첫 볏짚 활용 생분해성 용기 개발
KABPE / 2025.04.14
2025.04.14
520 커피 찌꺼기와 버섯으로 만든 친환경 플라스틱 대체재 개발
KABPE / 2025.04.11
2025.04.11
519 [사이테크+] "전분 기반 생분해성 플라스틱도 동물실험서 건강 문제 유발"
KABPE / 2025.04.10
2025.04.10
518 미세플라스틱 많이 먹은 사람의 얼굴... 노화 속도 충격적 차이
KABPE / 2025.04.07
2025.04.07
517 올버즈, 세계 최초의 탄소 제로 신발 '문샷' 국내 첫 선
KABPE / 2025.04.03
2025.04.03
새로운 생분해성 플라스틱, 빠르게 용해돼 '미세 플라스틱' 남기지 않아
KABPE / 2025.04.02
2025.04.02
515 원광대 첨단바이오소재학과 조충연 교수팀, 친환경 고성능 난연 복합소재 개발
KABPE / 2025.04.01
2025.04.01
514 농촌진흥청, '그린 마이크로바이옴·바이오플라스틱 실용화 미래 농업' 혁신포럼 개최
KABPE / 2025.03.31
2025.03.31
513 농진청, 친환경 농업 혁신 위해 학계·업계와 머리 맞대
KABPE / 2025.03.28
2025.03.28
512 신학철 LG화학 배터리와 친환경 소재 투자 집중, 인도네시아 '기회의 땅'으로
KABPE / 2025.03.27
2025.03.27
511 삼양그룹, 친환경 플라스틱소재 개발 박차 페트병부터 의약품까지 다각화
KABPE / 2025.03.26
2025.03.26
510 세계 27개국 대표 "국제 플라스틱 협약에 '생산 감축' 포함해야, 건강에 위협"
KABPE / 2025.03.24
2025.03.24
GS칼텍스 SCL(재) 서울의과학연구소 아모레퍼시픽 씨티케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