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단법인
한국생분해플라스틱생태계협회
  정보/자료 > 자료실

[기획]위기의 K-석화, 친환경으로 사업 다각화

• Wirter : KABPE  
• Date : 2025.07.22  
• Hits : 115

매일일보 = 권선형 기자  |  중국발(發) 공급 과잉의 직격탄을 맞은 국내 석유화학업계가 위기를 타파하기 위해 선택한 건 친환경·고부가가치 스페셜티(Specialty) 중심으로의 사업 구조 재편이다. 규모의 경제를 앞세웠던 과거의 성공 방정식이 더는 유효하지 않다는 절박함에 강도 높은 사업 재편에 돌입하고 있다.

롯데케미칼의 미래는 전지소재와 수소에너지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2022년 인수한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구 일진머티리얼즈)와의 시너지를 통해 동박 등 핵심 배터리 소재 사업을 본격적으로 키우고 미국 내 배터리 소재 공급망 구축에 나선다. 동시에 2030년까지 국내에 60만톤 규모의 청정수소를 공급한다는 목표 아래 암모니아 분해 기술 개발과 인프라 투자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2030년까지 스페셜티·친환경 소재의 매출 비중을 60%까지 끌어올려 ‘그린 프로미스 2030’ 비전을 달성하겠다는 구상이다.

LG화학은 일찌감치 3대 신성장동력(배터리 소재, 친환경 소재, 혁신 신약)을 미래 방향으로 설정하고 포트폴리오 재편을 진행해왔다. 배터리 소재 부문에서는 미국 테네시주에 4조원을 투자해 연산 12만톤 규모의 양극재 공장을 짓고 있다. 또 생분해성 플라스틱(PBAT), 바이오 원료 등 친환경 소재 사업을 확장하고 2023년 인수한 미국 항암 신약 기업 ‘아베오 파마슈티컬스’를 통해 글로벌 신약 개발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한화솔루션은 그룹의 핵심 성장동력인 태양광 사업과의 시너지를 통해 성장 모델을 구축하고 있다. 케미칼 부문은 기존 사업(PVC, TDI 등)의 경쟁력을 유지하며 안정적인 수익원 역할을 하되 성장의 무게추는 미국에 3조원 이상을 투자하는 태양광 통합 생산단지 솔라 허브 구축에 실려 있다. 이는 단순히 태양광 모듈만 생산하는 것을 넘어 잉곳-웨이퍼-셀-모듈로 이어지는 밸류체인 전반을 아우르는 전략이다.

SKC는 자회사 SK넥실리스가 주도하는 배터리용 동박 사업과 반도체 소재 사업에 집중하고 있다. SK넥실리스는 한국을 포함해 말레이시아, 폴란드, 북미에 생산 거점을 확보하며 글로벌 동박 제조사로서의 입지를 굳히고 있다. 또 차세대 반도체의 핵심으로 꼽히는 유리 기판 사업에 대규모 투자를 단행하며 시장 선점에 나서는 등 고부가가치 하이테크 소재 분야에 집중하고 있다.

금호석유화학은 주력 사업인 합성고무, 합성수지의 경쟁력을 극대화하는 정공법을 택했다. 시장에서 압도적 지위를 가진 제품들을 고부가가치화 해 불황을 이겨내겠다는 전략이다. 특히 전기차, 친환경 타이어 등 새로운 수요에 맞춰 기존 제품의 성능을 끌어올리는 데 집중하고 있다.

전기차 시대의 핵심 소재로 떠오른 이차전지용 탄소나노튜브(CNT) 사업은 금호석유화학의 대표적인 미래 먹거리다. CNT는 양극 도전재로 쓰이며 배터리 성능을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소재로 금호석유화학은 꾸준한 증설을 통해 시장 지배력을 강화활 계획이다. 또 고효율 타이어용 합성고무(SSBR), 바이오 원료를 활용한 친환경 소재 등 스페셜티 제품군을 확대하며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기업의 노력만으로는 현재의 구조적 위기를 타개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업계의 전반적인 목소리”라며 “그동안 미뤄졌던 ‘산업 재편 특별법’ 제정과 규제 완화, 세제 지원 등 전방위적 지원책을 시급히 시행해야 기업들의 신사업에도 탄력이 붙을 수 있다”고 말했다.

[기획]위기의 K-석화, 친환경으로 사업 다각화, 매일일보, 2025년 07월 21일 입력, 

https://www.m-i.kr/news/articleView.html?idxno=1262340

• Total : 595 ( 2/40 pages)
No. Subject Date
580 농진청, 생분해성 코팅 완효성 비료 개발…현장 실증 추진
KABPE / 2025.07.30
2025.07.30
579 정부·업계, 국제 플라스틱 협약 제네바 협상 앞두고 ‘고심’
KABPE / 2025.07.29
2025.07.29
578 전남대 김수정 교수, 지속가능 농업 위한 핵심 전략 제시
KABPE / 2025.07.28
2025.07.28
577 전남테크노파크, '생분해성 플라스틱 사업' 간담회 개최
KABPE / 2025.07.24
2025.07.24
576 음식물 쓰레기로 플라스틱 만든다…친환경 전환 기술 주목
KABPE / 2025.07.23
2025.07.23
[기획]위기의 K-석화, 친환경으로 사업 다각화
KABPE / 2025.07.22
2025.07.22
574 플라스틱 오염 해결 기술은?…"생분해성 소재 개발·확장 중요"
KABPE / 2025.07.21
2025.07.21
573 [단독] GS칼텍스, 연내 화이트 바이오 신제품 양산 기술 확보한다
KABPE / 2025.07.18
2025.07.18
572 앤아더스토리즈, 지속 가능 섬유 ‘켈선’ 활용 비치웨어 선봬
KABPE / 2025.07.15
2025.07.15
571 [클릭 e종목]"씨티케이, 美OTC 진출+친환경 플라스틱…기업가치 재평가↑"
KABPE / 2025.07.14
2025.07.14
570 비닐봉지 하루면 분해… ‘플라스틱 먹는 애벌레’ 비밀 찾았다
KABPE / 2025.07.11
2025.07.11
569 버려진 플라스틱을 이색 화분으로… 업사이클링 브랜드 ‘아임팟’ 화제
KABPE / 2025.07.08
2025.07.08
568 플라스틱 시대의 대안을 찾아서, 에코그린파워 박동근 대표 인터뷰
KABPE / 2025.07.07
2025.07.07
567 [산업교육연구소(KIEI)] 폐플라스틱 재활용/자원화를 위한 정책 및 기술개발과 활용 전략 세미나
KABPE / 2025.07.04
2025.07.04
566 "미세플라스틱 NO, 보습력·비건인증까지 "한솔제지, 나무서 추출한 점증제 '듀라클' 선봬
KABPE / 2025.07.03
2025.07.03
GS칼텍스 SCL(재) 서울의과학연구소 아모레퍼시픽 씨티케이 ㈜와이에스환경기술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