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해운대구 벡스코에서 열린 `2023 기후산업국제박람회(World Climate Industry EXPO·WCE)`에 기후 위기에 대응하는 친환경 기술들이 한자리에 모였다.
수과원은 유령어업 저감과 해양생태계 보호를 위해 바다 속에서 3~4년만 지나면 미생물에 의해 분해돼 없어지는 `생분해 그물`을 개발 및 보급하고 있다. 실제로 3년 간 해수에 담겨져 있던 생분해 그물은 마른 솔잎처럼 살짝 잡기만 해도 바스라졌다.
생분해 그물이 내구성이 떨어지는 것 아니냐는 질문에 "어획성능 시험에서 나일론 그물과 동등한 성능을 보였으며 강도나 신장률도 기존 그물실의 95%까지 근접했다"면서 "오히려 해양생태계 오염이 감소하면서 어획량이 5~10%가량 늘기도 했다"라고 답했다.
나무를 `녹여` 플라스틱처럼 찍어 만든 제로웨이스트 생활용품은 동남리얼라이즈에서 개발한 가지치기나 나무 밑동 등 활용하기 어려운 나무 부산물을 활용한 CXP 목재로 제작하였다.
CXP 목재는 기존 플라스틱 생산설비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일반적인 목가공품은 별도 제작설비가 필요하고 제작비용도 높지만, CXP 목재는 플라스틱 제품처럼 금형만 있으면 생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칫솔, 그릇, 텀블러, 주걱, 빗 등 플라스틱 생활용품을 대체할 수 있다.
업체 관계자는 "제조과정이 플라스틱과 동일하고 사출 압력으로 인해 물과 압력에 강해져 토양과 해양에서도 사용성을 충분히 유지한다"며 "실제 제품 중에는 멀티탭 등 전열 기구도 있다"고 답했다. 또 "기존 플라스틱 아동용 완구에서 각종 환경호르몬과 미세플라스틱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는데 CXP 제품은 천연소재로 만들어져 완벽한 무독성 물질로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나무를 `녹여서` 만든다?…기후산업박람회 눈길 끈 친환경 기술", 뉴스트리, 2023년05월28일 수정, 05월30일 접속, https://www.newstree.kr/newsView/ntr202305270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