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에서 잃어버리는 그물 등 폐어구로 인한 해양 환경 오염이 심각한 가운데, 삼척시가 생분해성 어구 보급사업에 본격 나서기로 해 주목을 끌고 있다.
삼척시는 올해 생분해성 어구 보급사업을 본격 추진함으로써 유실 폐어구로 인한 해양환경 오염을 최소화하고, 수산피해 저감 등에 도움이 되도록 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이번 사업은 국립수산과학원에서 인증한 생분해성 어구를 중심으로 진행되며, 삼척수협과 삼척원덕수협이 해당 사업 수행기관으로 활동한다.
현재 사용되는 나일론 재질의 어구는 유실되거나 침적되면 400~500년간 분해되지 않아 해양쓰레기가 되거나 유령 어업으로 이어져 심각한 수산자원 피해는 물론, 해양 환경 오염의 주범이 된다. 실제 해양수산부의 최근 발표에 따르면 국내 연간 해양플라스틱 쓰레기 발생량 6만7000t 가운데 어업활동으로 나온 폐어구와 부표 등이 54%를 차지하고 있다. 이에 반해 생분해성 어구는 유실 등 이유로 바다에 가라앉으면 1년 후 부터 미생물에 의해 물과 이산화탄소로 분해되면서 해양환경 및 자원 보호에 도움을 준다.
이에따라 시는 올해 자망과 통발, 복합 어업허가를 보유한 지역 어업인을 대상으로, 어선 15척 분량의 생분해성 어구 3800폭을 보급한다. 지원범위에는 어구 구매비 외에 폐기물 처리비와 품질검사용 어구 구입비(척당 1폭) 등이 포함된다. 지원단가는 생분해성 어구와 기존 어구 사이 차액을 비롯해 기존 어구 가격의 40%를 반영해 산정된다.
삼척시 관계자는 “바다에 버려지는 폐그물 등으로 인한 해양 환경 오염은 물론, 유령 어업 등으로 인한 어족자원 고갈 등 문제가 많다”며 “지속 가능한 수산업을 위해 생분해성 어구 보급을 꾸준히 확대할 방침인 만큼, 어업인들의 자발적 참여와 친환경 의식이 보다 확산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구정민 기자
삼척시 ‘생분해성 어구’ 보급사업 본격 추진, 강원도민일보, 2025년 05월 07일 입력,
| No. | Subject | Date |
|---|---|---|
| 627 | 모정환 전남도의원 "전남도, 생분해성 멀칭필름 보급 확대 촉구"KABPE / 2025.11.18 |
|
| 626 | "섬·바다, 미래 자산으로 보전·활용 극대화해야" KABPE / 2025.11.14 |
|
| 625 | 삼양그룹, R&D 성과 공유 행사 'SIRF 2025' 개최…생분해성 필러 기술 주목 KABPE / 2025.11.12 |
|
| 624 | ‘친환경’ 종이 빨대의 역설: 플라스틱보다 과불화화합물 더 검출돼 KABPE / 2025.11.11 |
|
| 623 | 스타벅스코리아, 식물성 플라스틱 빨대 전국 도입…제주 제외 전 매장 확대 KABPE / 2025.11.07 |
|
| 622 | 친환경 소재부품산업 전초기지…셀룰로오스 나노섬유소재 산업화센터 준공 KABPE / 2025.11.05 |
|
| 621 | 씨티케이바이오, '2025 BASA 어워즈' 기술상·최고 기업가상 수상 KABPE / 2025.11.04 |
|
| 620 | CJ제일제당, 생분해성 소재 사업 보폭 확대 KABPE / 2025.11.03 |
|
| 619 | 국감 분리배출퀴즈 답못한 기후장관…"생분해 플라스틱 혼선" KABPE / 2025.10.30 |
|
| 618 | 인천시 해양 생분해성 부표로 미세플라스틱 문제 해결 앞장 KABPE / 2025.10.28 |
|
| 617 | [인천 24시] 인천시, 바이오플라스틱 연구개발특구 신기술 실증특례 선정 KABPE / 2025.10.24 |
|
| 616 | “생분해·재활용 침구로 폐기까지 관리…친환경 이끈다” KABPE / 2025.10.23 |
|
| 615 | 탄소중립 시대, 한국 플라스틱 산업의 시험대 KABPE / 2025.10.22 |
|
| 614 | 올 한해 수고한 땅과 나무를 위한 ‘감사비료’ KABPE / 2025.10.21 |
|
| 613 | CJ제일제당, 'PHA' 적용 물티슈·기저귀 패키지 개발…글로벌 친환경 시장 정조준 KABPE / 2025.10.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