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단법인
한국생분해플라스틱생태계협회
  정보/자료 > 자료실

치마버섯서 플라스틱·가죽 대체할 친환경 소재 찾아

• Wirter : KABPE  
• Date : 2025.06.16  
• Hits : 96
버섯이 플라스틱이나 가죽 같은 소재를 대체할 수 있는 소재가 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사진=비건뉴스)
▲ 버섯이 플라스틱이나 가죽 같은 소재를 대체할 수 있는 소재가 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사진=비건뉴스)

 

버섯이 플라스틱이나 가죽 같은 소재를 대체할 수 있는 실마리가 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캐나다 맥마스터대학교 연구진은 치마버섯(Schizophyllum commune)에서 유래한 균사체(mycelium)를 이용해 생분해성 필름을 제작하고, 유전 조합에 따라 물성(物性)이 달라진다는 사실을 규명했다.

 

치마버섯은 2만3천 개 이상의 교배형(mating type)을 지닌 유전적 다양성의 보고다. 이 버섯에서 자라는 균사체는 고밀도의 섬유망을 형성하는데, 이를 화학 처리하면 고체 상태의 필름 형태로 가공할 수 있다.

 

하지만 동일한 방식으로 재배해도 최종 소재의 강도, 유연성, 방수성 등 물성이 일정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었다. 연구진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단핵균주 4종과 이핵성 후손 12종 등 총 16종의 균주를 교배하고, 필름의 품질을 정밀 분석했다.

 

그 결과, 균주의 핵 DNA와 미토콘드리아 DNA가 모두 필름의 물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특정 유전 조합을 선택하면 목적에 맞는 맞춤형 소재 설계가 가능하다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연구팀은 액체 배양 방식을 통해 12일간 균사체를 배양한 뒤, 폴리에틸렌글리콜(PEG)과 글리세롤이라는 두 가지 가교제를 적용해 필름을 제작했다. PEG 처리 필름은 강하지만 잘 깨지는 반면, 글리세롤 처리 필름은 부드럽고 유연한 특성을 보였다.

 

특히 PEG로 처리한 αδ 균주는 41% 이상의 연신율을 기록했으며, γ 계열 균주에서는 높은 에너지 흡수 성능을 보이는 필름이 생성되기도 했다.

 

또한, 각 조합은 수분 반응에서도 차이를 보였다. PEG 필름은 초흡수성을 보여 빠르게 물을 흡수했고, 글리세롤 필름은 77도 수준의 접촉각을 유지하며 일정한 수분 저항성을 나타냈다.

 

지앤핑 쉬(Jianping Xu) 맥마스터대학교 생물학 교수는 “자연에 존재하는 유전적 다양성을 활용하면, 특정 용도에 맞춘 다양한 종류의 생분해성 소재를 개발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생물자원·바이오제품 저널(Journal of Bioresources and Bioproducts)에 게재됐다.


치마버섯서 플라스틱·가죽 대체할 친환경 소재 찾아, 비건뉴스, 2025년 06월 13일 입력, 

https://www.vegannews.co.kr/news/article.html?no=161774

• Total : 573 ( 1/39 pages)
No. Subject Date
573 [단독] GS칼텍스, 연내 화이트 바이오 신제품 양산 기술 확보한다
KABPE / 2025.07.18
2025.07.18
572 앤아더스토리즈, 지속 가능 섬유 ‘켈선’ 활용 비치웨어 선봬
KABPE / 2025.07.15
2025.07.15
571 [클릭 e종목]"씨티케이, 美OTC 진출+친환경 플라스틱…기업가치 재평가↑"
KABPE / 2025.07.14
2025.07.14
570 비닐봉지 하루면 분해… ‘플라스틱 먹는 애벌레’ 비밀 찾았다
KABPE / 2025.07.11
2025.07.11
569 버려진 플라스틱을 이색 화분으로… 업사이클링 브랜드 ‘아임팟’ 화제
KABPE / 2025.07.08
2025.07.08
568 플라스틱 시대의 대안을 찾아서, 에코그린파워 박동근 대표 인터뷰
KABPE / 2025.07.07
2025.07.07
567 [산업교육연구소(KIEI)] 폐플라스틱 재활용/자원화를 위한 정책 및 기술개발과 활용 전략 세미나
KABPE / 2025.07.04
2025.07.04
566 "미세플라스틱 NO, 보습력·비건인증까지 "한솔제지, 나무서 추출한 점증제 '듀라클' 선봬
KABPE / 2025.07.03
2025.07.03
565 미국 플라스틱병 시장동향
KABPE / 2025.07.02
2025.07.02
564 2025 대한민국 ESG 친환경대전, ‘플라스틱 자원순환 및 패키징 특별관’ 운영
KABPE / 2025.07.01
2025.07.01
563 바닷물에 녹는 플라스틱 개발..."빨리 분해되고 흔적 안 남겨"
KABPE / 2025.06.30
2025.06.30
562 결국 되돌아온 플라스틱 빨대 "탁상 규제, 친환경 반감만 불러"
KABPE / 2025.06.27
2025.06.27
561 다보링크 자회사 에코비아, 생분해 PBS 제품 상용화
KABPE / 2025.06.26
2025.06.26
560 “플라스틱이지만 친환경?”.. 스타벅스, 결국 돌아온 ‘녹색 유턴’
KABPE / 2025.06.25
2025.06.25
559 이스트만, 생분해성 마이크로파우더 원료 주목
KABPE / 2025.06.24
2025.06.24
GS칼텍스 SCL(재) 서울의과학연구소 아모레퍼시픽 씨티케이 ㈜와이에스환경기술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