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G 계열사 코스모코스(대표 이정훈)가 성균관대학교 김진웅 교수 연구팀과 공동 개발한 혁신적인 친환경 헤어 케어 신소재 ‘헤어실켄™ (HAIRSILKEN™)’이 재료과학 분야 최정상 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터리얼즈(Advanced Materials)》에 2025년 3월 게재되며, 세계적으로 그 학문적 가치와 기술력을 인정받았다.
어드밴스드 머터리얼즈 (Advanced Materials, Impact Factor(IF)= 27.4)는 Wiley-Blackwell이 발행하는 생체재료 및 나노기술 분야에서 상위 1%의 저널로 해당 분야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저널 중 하나로 평가되고 있다.
헤어실켄™은 셀룰로오스 기반 소재로 자연 유래 고분자인 셀룰로오스는 생분해성 등 친환경적 장점이 뛰어나지만, 높은 친수성으로 인해 계면 흡착이 어려운 과제를 안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연구팀은 셀룰로오스 섬유 표면에 양이온성 작용기를 도입하므로 정전기 인력의 작용 메커니즘을 통해 음전하를 띠는 모발 또는 물과 유용성 물질사이의 계면에 안정적으로 흡착될 수 있도록 설계했다. 계면에 흡착된 셀룰로오스는 계면막 물성을 개선하며, 양이온성 셀룰오즈로 구현된 에멀젼은 분자 수준에서 나노메쉬 액적 구조를 형성하므로 기존 계면 유화 시스템보다 뛰어난 구조적·화학적 안정성을 제공한다. 또한, 구조 안에 모발 강화 유효성분을 담지해 모발개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해당 원리로 개발된 헤어실켄™(HAIRSILKEN™)은 실제로 손상된 모발의 물성 개선 및 보호에 있어 뛰어난 효과를 보여 주었다. 음전하를 띠는 손상모발 표면에 헤어실켄의 양이온성 셀룰로오스는 보다 효과적으로 흡착 되었으며, 인장강도 시험 결과 정상 모발에서 15%, 탈색 모발은 45%, 샴푸 처리된 모발은 33%까지 강도 개선 효과를 나타내었다.
친환경 헤어케어 소재인 헤어실켄™(HAIRSILKEN™)은 국내 벼농가에서 발생하는 쌀겨 부산물을 업사이클링하여 얻은 셀룰로오즈를 이용 하였으며, 기존 석유 기반 고분자나 미세플라스틱을 대체할 수 있는 생분해성 친환경 소재로서 지속가능한 화장품 개발의 일환으로 진행되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세계적인 학술지 게재와 더불어 국내외 특허 출원도 완료되었다. (출원명: 양이온성 셀룰로오스 계면활성제, 그 제조 방법, 이를 이용한 피커링 에멀젼, 약물 전달 조성물 및 모발 강화용 조성물)
업체 관계자는 이번 성과는 업사이클링 기반으로 탄생한 바이오 신소재가 국제적으로 기술력을 인정받은 사례로, 단순한 뷰티 원료를 넘어 지속 가능한 산업의 방향을 제시하는 이정표” 라며, “앞으로도 자사는 생체 유래 고분자를 활용한 친환경 신소재 연구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글로벌 시장 진출을 확대해 나가고자 한다” 라고 포부를 밝혔다.
한편 업체는 1992년 설립된 국내 대표 화장품 브랜드 ‘소망화장품’을 전신으로, 현재는 KT&G 뷰티·건강생활 부문을 담당하는 화장품 전문 기업이다. ‘다나한’, ‘비프루브’, ‘플로르드망’, ‘꽃을든남자’ 등 다양한 브랜드를 보유하고 있으며, ODM/OEM 사업 및 온라인 플랫폼 ‘코스모코스랩’을 통해 국내외 뷰티 시장에서 경쟁력을 넓혀가고 있다.
코스모코스, 친환경 헤어케어 신소재 ‘헤어실켄™’ 세계적 권위 학술지에 등재, 글로벌경제신문사, 2025년 05월 21일 입력, 2025년 05월 23일 수정,
https://www.ge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821854
No. | Subject | Date |
---|---|---|
▶ | ![]() KABPE / 2025.05.23 |
|
542 | ![]() KABPE / 2025.05.22 |
|
541 | 경산종묘산업특구, 생분해성 종이포트 제조장비 지원 KABPE / 2025.05.21 |
|
540 | [새 정부에 바란다] "플라스틱 규제보다 지속가능한 지원정책 시급" KABPE / 2025.05.20 |
|
539 | CU, 생분해성 용기 적용한 '더건강식단' 5종 출시 KABPE / 2025.05.19 |
|
538 | 국내서 무용지물 '생분해 플라스틱'… 국내 기업들 '곡소리' KABPE / 2025.05.16 |
|
537 | “자연을 푸르고 깨끗하게”…걸으면서 환경 정화 KABPE / 2025.05.15 |
|
536 | 바이오플라스틱 안전할까?..."전분 플라스틱, 석유 플라스틱만큼 유해" KABPE / 2025.05.14 |
|
535 | 싱가포르 식품 산업이 보여주는 미래: 친환경, 대체식품, 혁신 기술 중심으로 KABPE / 2025.05.13 |
|
534 | 스위스 EPFL, 물고기 먹이로 생분해성 수상 로봇 개발 KABPE / 2025.05.12 |
|
533 | 의료용 플라스틱 분해하는 병원균 첫 발견 '비상' KABPE / 2025.05.09 |
|
532 | 최고 수준 환경성 평가, 유한킴벌리의 ‘그린핑거 포레스트 피톤 샤워젤’[2025 지속가능상품 15] KABPE / 2025.05.08 |
|
531 | 삼척시 ‘생분해성 어구’ 보급사업 본격 추진 KABPE / 2025.05.07 |
|
530 | 바다 속에서 1년 안에 92% 분해되는 고분자 소재 개발 KABPE / 2025.04.28 |
|
529 | 씨티케이, 블루보틀 커피에 생분해 플라스틱 제품 계약 체결 KABPE / 2025.04.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