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단법인
한국생분해플라스틱생태계협회
  정보/자료 > 자료실

농진청, 생분해성 코팅 ‘우량비료’ 1호 지정

• Wirter : KABPE  
• Date : 2025.08.22  
• Hits : 58

비료관리법에 따라 우수한 품질의 비료를 국가에서 공식 인정하는 ‘우량비료 지정제도’ 시행(1997년) 이후 처음으로 ‘우량비료’ 1호가 탄생했다.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14일 농업환경 및 토양 보호를 위한 생분해성 코팅 복합비료를 ‘우량비료’ 1호로 공식 지정했다고 밝혔다.


우량비료는 기존 완효성비료에 적용되는 난분해성 코팅제를 토양 내에서 자연적으로 분해되는 생분해성 물질이다. 대체한 제품이 지정됐다. 이 제품은 양분 유실을 줄이고 토양 오염을 최소화함으로써 환경 부담 경감과 지속 가능한 농업이라는 시대적 요구에 부합한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농진청은 그동안 우량비료 지정 활성화를 위해 2023년 사전검토 절차 도입, 신청 자격 완화 등 지정기준 고시를 전면 개정했다. 기존에는 비료 유통 실적, 생산량 등 조건이 엄격해 29년간 한 건의 지정도 나오지 않았다. 이후 비료산업 혁신과 연구개발 촉진이라는 제도 도입 취지에 맞게 시스템을 개선했다.


우량비료 제도는 농업환경 및 토양 보호, 농업 생산성 증대, 농업 경쟁력 제고 등 세 가지 분야에 걸쳐 관련 전문가 심의를 거쳐 농촌진흥청장이 지정·고시한다.


지정 제품은 4년간 우량비료 표기를 제품 포장 등에 사용할 수 있다. 농협·지자체를 통해 보급되고 사용법 지도와 구매 지원 등 현장 지원도 함께 이뤄진다.


박상원 농촌진흥청 농자재산업과장은 “이번 우량비료 1호 지정은 환경보전과 지속 가능한 농업 실현을 위한 중요한 이정표”라며 “앞으로도 친환경적이고 고품질 비료 개발·확산을 위해 업계의 적극적인 참여를 독려한다”고 말했다.


농진청, 생분해성 코팅 ‘우량비료’ 1호 지정, 데일리안, 2025년 08월 17일 입력, 

https://www.dailian.co.kr/news/view/1536561/?sc=Naver

• Total : 593 ( 1/40 pages)
No. Subject Date
593 [전화성의 스타트업 모닝커피 1146회] 더그린제너레이션
KABPE / 2025.09.03
2025.09.03
592 아워홈, 실온 분해되는 ‘자연 생분해성 봉투’ 개발
KABPE / 2025.08.28
2025.08.28
농진청, 생분해성 코팅 ‘우량비료’ 1호 지정
KABPE / 2025.08.22
2025.08.22
590 LG생건, 캡슐세제 브랜드 ‘테크 수퍼캡스’ 론칭
KABPE / 2025.08.21
2025.08.21
589 일본 연구진, 물속에서 사라지는 플라스틱 개발…해양 오염 해결 기대
KABPE / 2025.08.19
2025.08.19
588 "내가 마신 한 잔이 에너지로"...커피 찌꺼기로 만든 생분해성 배터리
KABPE / 2025.08.18
2025.08.18
587 강원곤충산업센터, 연세대와 비침습·저비용 착용형 호흡 모니터링 기술 개발
KABPE / 2025.08.14
2025.08.14
586 안양시, 현수막도 친환경으로 … 지속 가능한 도시 실천
KABPE / 2025.08.13
2025.08.13
585 경기도농수산진흥원·㈜그리코, 학교급식 부산물 기반 친환경 제품 실증화 시작
KABPE / 2025.08.12
2025.08.12
584 농산 부산물이 ‘썩는 플라스틱’으로…"자연순환을 꿈꾼다"
KABPE / 2025.08.11
2025.08.11
583 "에탄으로 메탄 줄이며 바이오플라스틱 원료 만든다"
KABPE / 2025.08.08
2025.08.08
582 SK리비오, IFC서 550억 유치… "생분해성 플라스틱 투자"
KABPE / 2025.08.07
2025.08.07
581 미국 플라스틱 포장재 시장동향
KABPE / 2025.08.04
2025.08.04
580 농진청, 생분해성 코팅 완효성 비료 개발…현장 실증 추진
KABPE / 2025.07.30
2025.07.30
579 정부·업계, 국제 플라스틱 협약 제네바 협상 앞두고 ‘고심’
KABPE / 2025.07.29
2025.07.29
GS칼텍스 SCL(재) 서울의과학연구소 아모레퍼시픽 씨티케이 ㈜와이에스환경기술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