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단법인
한국생분해플라스틱생태계협회
  정보/자료 > 자료실

“생분해·재활용 침구로 폐기까지 관리…친환경 이끈다”

• Wirter : KABPE  
• Date : 2025.10.23  
• Hits : 14

조은자 이브자리 수면환경연구소 소장은 최근 서울 강남구 이브자리 슬립라운지 매장에서 이데일리와 만나 “친환경의 중요성이 지속 제기되면서 침구도 환경적인 가치를 고민해야 할 시점”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조 소장은 지난 1997년에 이브자리에 입사해 2003년부터 연구원으로 활동했다. 지난해부터 이브자리 수면환경연구소 소장으로 역임하며 제품 개발을 진두지휘하고 있다.

조 소장은 과거 침구 시장에서 보기 드물었던 지속가능성을 고려한 침구를 선보이기 위해 주력하고 있다. 유기농 면, 한지, 대나무, 모달 등의 식물성 소재의 침구를 꾸준히 선보였을 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폐플라스틱 재활용 솜을 활용한 침구를 출시하며 화제를 모았다.


조 소장은 “침구는 수명이 지나면 사실상 전부 폐기물이 된다”며 “사회 전반적으로 친환경을 추구하는 분위기가 형성되면서 친환경 침구를 만들기 위한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브자리는 지속가능한 침구에 개발하기 위한 다양한 활동을 전개했다. 지난해에는 기후테크 스타트업 ‘제클린’, 제주특별자치도 등과 국내 최초로 헌이불을 새로운 침구로 만드는 시범사업을 진행했다. 최근에는 아이슬란드산 희귀 오리 솜털의 모양을 본떠 구현한 신소재인 ‘아이더 웜’을 선보였다.

수면환경연구소는 앞으로 침구시장에도 친환경에 대한 요구가 커질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이미 유럽연합(EU) 의회는 올해 9월 ‘폐기물 기본지침’ 개정안을 최종 채택해 오는 2028년까지 모든 회원국이 의류, 신발, 침구류를 포함한 섬유 제품에 ‘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EPR) 제도를 도입토록 했다. 이 제도는 생산자가 제품의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환경 부담을 책임지고 회수, 재활용까지 직접 수행하도록 하는 게 골자다.

조은자 이브자리 수면환경연구소 소장. (사진=이브자리)




조 소장은 이 같은 시장 흐름을 변화를 반영해 소재 개발부터 폐기까지 전 주기에서 지속가능성을 실현하는 침구기업으로 국내 시장을 선도하겠다는 전략이다.


그는 “폴리락틱애시드(PLA, 생분해성 고분자)와 같이 합성소재라도 생분해가 가능한 소재를 침구에 접목하는 방안을 구상중”이라며 “소비자에게도 생분해나 재활용 소재가 건강이나 위생적인 측면에서 문제가 없다는 것을 알리고 홍보하는 활동도 병행하려 한다”고 말했다. 이어 “궁극적으로 제품 원료부터 폐기까지의 전 과정에서 친환경 인증을 받은 특화 침구 브랜드 상품을 만드는 사업을 검토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브자리는 지속가능성을 지향하면서도 기능적인 측면에서의 발전도 등한시하지 않겠다는 방침이다. 다양한 침구 소재와 모양, 사용자의 수면 자세 및 환경 등을 복합적으로 고려한 맞춤형 상품을 선보이고 제안할 수 있는 개선된 서비스를 내놓겠다는 전략이다.

조 소장은 “고객의 여러 가지 체형이나 체격, 수면 자세나 환경, 개인 기호들을 세분화해 적합한 상품을 제안하는 고도화한 솔루션을 선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궁극적으로 고객들이 건강한 수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 소재나 서비스 출시하는 기업으로서 이브자리가 침구 시장을 이끌도록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생분해·재활용 침구로 폐기까지 관리…친환경 이끈다”, 2025년 10월 23일 입력, 이데일리,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1968006642335872&mediaCodeNo=257&OutLnkChk=Y

• Total : 617 ( 1/42 pages)
No. Subject Date
617 [인천 24시] 인천시, 바이오플라스틱 연구개발특구 신기술 실증특례 선정
KABPE / 2025.10.24
2025.10.24
“생분해·재활용 침구로 폐기까지 관리…친환경 이끈다”
KABPE / 2025.10.23
2025.10.23
615 탄소중립 시대, 한국 플라스틱 산업의 시험대
KABPE / 2025.10.22
2025.10.22
614 올 한해 수고한 땅과 나무를 위한 ‘감사비료’
KABPE / 2025.10.21
2025.10.21
613 CJ제일제당, 'PHA' 적용 물티슈·기저귀 패키지 개발…글로벌 친환경 시장 정조준
KABPE / 2025.10.20
2025.10.20
612 이솔산업, 2025 인천국제환경기술펀펙스참가… 친환경 PLA 제품군 공개
KABPE / 2025.10.17
2025.10.17
611 세계 11개국 진출한 'K-교구'...친환경 기술로 글로벌 영토확장
KABPE / 2025.10.16
2025.10.16
610 中企, 오락가락 '脫플라스틱 정책'에 고통
KABPE / 2025.10.15
2025.10.15
609 CU, 친환경 생분해성 소재로 도시락 용기 만든다
KABPE / 2025.10.14
2025.10.14
608 인천시, 생분해성 플라스틱 재활용 실증…제도 개선 앞장
KABPE / 2025.10.13
2025.10.13
607 인천대 RISE사업단, '글로벌 친환경 플라스틱 Summit' 성료
KABPE / 2025.10.01
2025.10.01
606 경남도, 1회용품 사용규제 사업장 합동점검 실시
KABPE / 2025.09.30
2025.09.30
605 [브리핑] CJ제일제당, UN피스코 SDGs 대상서 '해양생태계 보전' 부문 대상
KABPE / 2025.09.29
2025.09.29
604 베트남 플라스틱 · 고무산업 전시회(VietnamPlas 2025) 참관기
KABPE / 2025.09.26
2025.09.26
603 소재 중심의 산업 혁신, ‘제7회 중국 국제 신소재 박람회’ 현장 스케치
KABPE / 2025.09.24
2025.09.24
GS칼텍스 SCL(재) 서울의과학연구소 아모레퍼시픽 씨티케이 ㈜와이에스환경기술연구원